업비트, 비트코인 입금량 주의 경보
금리 인하 기대 낮아지며 하락한 듯
비트코인 4년 주기설 공포도 확산
1억 3000만원대 무너진 비트코인 가격
21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뉴시스
비트코인 가격이 연일 하락을 거듭하며 1억 3000만원선이 붕괴, 1억 2000만원 후반대로 밀려났다.
21일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오후 12시쯤 1억 2724만원까지 떨어졌다. 이날 0시쯤 1억 3565만원을 나타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12시간 사이에 6.2%나 하락한 수치다.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이 1억 3000만원선 밑으로 주저앉은 것은 지난 4월 22일 이후 7개월 만이다.
업비트는 비트코인에 ‘입금량 급등’ 주의 경보를 냈다. 오전 9시 기준 최근 24시간 동안 입금량이 이전 24시간 대비 100~300% 이상 급등한 경우 이 경보를 낸다. 현금화를 목적으로 거래소에 입금되는 코인이 많아지면 매도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진 점이 비트코인 시세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으로 뒤늦게 공개된 9월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부문 사업체 일자리는 9월 한 달 동안 11만 9000개 늘어나 예상을 뛰어넘었지만, 실업률은 4.4%로 전월 대비 오르는 등 혼조세를 보였다.
‘비트코인 4년 주기설’에 따라 하락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공포감이 확산된 영향도 있다. 비트코인은 4년마다 채굴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를 겪는데, 통상 반감기 이후 12~18개월간 상승장을 보이며 최고점을 찍은 뒤 약세장에 접어들었다. 가장 최근의 반감기는 지난 2024년 4월이다.
이날 오후 3시 업비트 공포·탐욕지수는 25.65(공포) 수준을 나타냈다. 이 지수는 업비트 디지털자산의 가격과 거래량을 바탕으로 0에서 100까지 범위 내에서 산출된다. 매우 공포·공포·중립·탐욕·매우 탐욕 등 5단계로 구분되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매우 탐욕에 가까워진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