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 연체율 4년 만에 최고

은행 대출 연체율 4년 만에 최고

강신 기자
강신, 김소라, 신융아 기자
입력 2024-01-26 01:06
업데이트 2024-01-26 06: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돈 못 갚는 가계·기업 모두 늘어
기업 체감경기 11개월 만에 최저

이미지 확대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연합뉴스
은행권 대출 연체율이 최근 4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이어지는 불경기 속 돈을 못 갚는 가계와 기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기업의 체감경기도 11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6%로 전월 말 대비 0.03% 포인트,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19% 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11월(0.4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연체율이 동반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37%)보다 0.02% 포인트 상승한 0.39%였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52%로 전월 말(0.48%) 대비 0.04% 포인트 상승한 가운데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대출 연체율이 각각 0.05% 포인트 올랐다.

11월 중 신규연체율(11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10월 말 대출잔액)은 0.12%로 역시 전월 대비 0.01% 포인트 상승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불안으로 건설업이 부진해지면서 기업의 체감경기도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 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1포인트 하락한 69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69)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나타내는 BSI는 지수가 100을 밑돌면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1월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1포인트 오른 71을 기록했지만 정보통신업(-8포인트)과 건설업(-5포인트) 등을 포함한 비제조업 업황 BSI가 3포인트 하락한 67로 나타나 2020년 9월(62)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한편 IBK금융그룹과 연합자산관리(유암코)는 지난 24일 1500억원 규모의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를 조성하고 시장 안정화에 나섰다. 기업은행 500억원, IBK캐피탈 100억원, IBK투자증권 100억원 등 IBK금융에서 700억원을, 유암코가 800억원을 출자해 조성한 이 펀드를 통해 PF 부실 사업장의 채권 인수, 채권재구조화, 지분 투자 등의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강신·김소라·신융아 기자
2024-01-26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