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쌈짓돈’… 최고 2% 이자 특판상품으로 불리세요

명절 ‘쌈짓돈’… 최고 2% 이자 특판상품으로 불리세요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10-07 17:26
업데이트 2020-10-08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로금리 시대 눈길 끄는 금융사 예적금

은행권 연 1% 넘는 이자 상품 16% 불과
SBI·JT저축銀 정기예금 금리 연 1.9%
핀크·KDB산업銀 ‘T이득통장’ 연 2%

어린이는 일반 고객보다 높은 금리 제공
하나銀 ‘아이 꿈하나 적금’ 최대 연 1.8%
KB국민銀 ‘영 유스 적금’ 연 2.15% 적용
10년 이상 장기투자 목표 땐 펀드가 적절

이미지 확대
유례없는 제로금리 시대에 추석 연휴 이후 각종 보너스나 명절 상여금, 용돈 등 ‘쌈짓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공모주 청약을 해보려니 높은 경쟁률에 돈이 턱없이 모자라고, 다른 금융투자상품은 여전히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이나 핀테크 상품, 아이를 위해 어린이 맞춤형인 적금이나 펀드 등으로 눈길을 돌리게 된다. 하지만 저축은행이나 핀테크 상품, 어린이 금융상품 등에 가입하기 전에 우대금리 요건과 각종 혜택을 잘 따져봐야 한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은행권 정기예금 상품 중 84.3%는 금리가 연 0%대였다. 10개 중 8개가 넘는 예금이 연 1%의 이자도 주지 않는다는 얘기다. 연 1%가 넘는 이자를 주는 예금 상품은 15.7%에 불과했고, 연 2%가 넘는 이자를 주는 상품은 하나도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대형 저축은행과 일부 핀테크들은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로 고객을 확보하려 한다. 예적금은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은행 이외의 다른 곳에 돈을 맡기는 방법도 고려해 볼 만하다. 저축은행 중에서는 SBI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연 1.9%, JT저축은행의 ‘비대면 정기예금’ 금리가 연 1.9%다.

OK저축은행의 특판상품인 ‘중도해지OK정기예금 365’처럼 중도해지를 해도 약정 이율(연 1.8%)을 받을 수 있는 상품도 있다. 핀테크가 선보이는 상품 중에서는 핀크와 KDB산업은행의 자유입출금 통장인 ‘T이득통장’이 연 2%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다만 SK텔레콤 이동통신 회선을 유지하고, 산업은행 마케팅 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등 일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아이 몫의 쌈짓돈은 시중은행 어린이용 적금이나 어린이 펀드 등에 넣을 수 있다. 은행 대부분은 어린이 고객들에게 일반 고객보다 좀더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 하나은행의 아이 꿈하나 적금은 자유적립식 1년제 적금으로 가입 대상은 만 18세 이하다. 최대 연 1.8% 이자를 받을 수 있다. KB국민은행의 영 유스(Young Youth) 적금은 만 18세 이하가 가입할 수 있다. 매달 300만원 이하의 금액을 만기일 전일까지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다. 우대금리를 포함해 연 2.15%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또 단체보험에 무료 가입되는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은행 예·적금 상품 중 일부는 자녀가 아프거나 사고를 당하면 보상받을 수 있는 자녀안심보험 무료 가입, 용돈관리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또 아이 이름으로 통장을 개설하고 나면 아이에게 용돈기입장을 쓰는 방식으로 금융교육도 할 수 있다.

좀더 공격적으로 쌈짓돈을 굴리고 싶다면 어린이 펀드도 고려해 볼 만하다. 자녀 학자금이나 결혼 자금 마련을 위해 10년 이상 장기 투자를 목표로 운영하기에 적절하다. 만 18세 미만인 자녀 이름으로 펀드에 가입하면 10년간 납입액 2000만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증여할 수 있다.

다만 어린이펀드는 상품별로 수익률 차이가 크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에는 총 22개(설정액 10억원 이상)의 어린이 펀드가 설정돼 있다. 총설정액은 5292억원으로, 평균 수익률은 최근 3개월 기준 8.79%, 6개월 기준 34.43%다. 다만 최근 1개월은 -4.14%를 기록했다. 어린이 펀드의 경우 아이 눈높이에 맞게 쉬운 단어와 다양한 색깔로 운용보고서를 꾸미는 곳도 있어 경제 교육에도 도움이 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이가 펀드에 가입한 이후 돈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경험을 하면서 경제에 대한 시각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10-0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