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문턱 낮추고 벤처 창업 돕고… 서민경제 ‘돈맥경화’ 해결사

대출 문턱 낮추고 벤처 창업 돕고… 서민경제 ‘돈맥경화’ 해결사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11-05 23:28
업데이트 2019-11-06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용 금융] <2>KB국민은행 소상공인·중기 창업자 지원

이미지 확대
#1. 소셜커머스 플랫폼 W사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개인사업자 A씨는 매출이 크게 늘었지만 판매 대금은 한두 달 뒤에야 들어오다 보니 수중에 현금이 부족해 재고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P2P(개인 대 개인) 금융회사에서 미리 돈을 빌리고 나중에 갚는 선(先)정산서비스를 썼지만 15%가 넘는 이용수수료가 적잖은 부담이었다. 그러다가 KB국민은행의 ‘KB셀러론’에서 3분의1 수준으로 선정산을 받을 수 있었다.

#2. 고향에서 2~3년 동안 햄버거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B(25)씨는 올해 자신의 가게를 열기 위해 상경했다. 요리는 자신이 있었지만 창업자금이 부족했고 서울 지리도 익숙지 않았다. B씨는 서울 양천구 KB국민은행 ‘KB소호컨설팅센터’ 강서센터점을 찾아 조언을 구했다. 강서센터의 소개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에서 낮은 이자로 창업자금을 빌릴 수 있었다. B씨는 종로 6가 인근은 백반집이 많아 햄버거가 잘 팔리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유동인구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을 얻었다. 임대료는 낮추고 좋은 재료를 쓴 ‘더블식스버거’는 문을 연 지 2개월 만에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KB국민은행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창업자, 경영진을 위해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고 있다. 은행권에서 대출이 어려웠던 중소기업에도 신용이나 담보평가 등을 개선해 낮은 금융비용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자금 중개를 넘어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에 채용을 지원해 주고 각종 경영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

좋은 사업 아이템이 있어도 자금이 부족해 사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적지 않다. 금융기관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출의 문턱을 낮추면 무엇보다 큰 힘이 된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혁신벤처기업을 위한 전용 대출상품 ‘KB 혁신벤처기업 우대대출’과 만 39세 이하 청년 창업자를 위한 ‘KB 청년 희망드림 우대대출’을 내놨다.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등에 500억원을 출연해 1조 7000억원의 중소기업 대출로 이어졌다. 그 결과 국민은행은 시중은행 가운데 처음으로 지난 9월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100조원을 넘었다.

신용평가를 없앤 ‘KB셀러론’도 호응이 높다. 지난달 10일 기준 204명의 판매자가 166억원의 대출을 받았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현금흐름 자료에 기초해 대출을 내주기 때문에 과거라면 대출이 어려웠던 신용등급 7~10등급 업체까지 대출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인력 미스매치 문제로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채용도 돕는다. KB국민은행이 2011년 시작한 ‘KB 굿잡 취업 박람회’는 올해 16회를 맞았다. 취준생에게는 양질의 중소기업 일자리를 알리고 참여 기업에는 채용 지원금을 지원한다. 올 상반기에는 총 247개사가 참여했다. 채용 지원금은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렸고, 연 1회에서 연 5회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경영진이 겪는 고민에도 머리를 맞댄다. 2006년부터 ‘KB 와이즈(WISE) 컨설팅’을 꾸려 매년 160여건 이상 무료로 컨설팅을 해 준다. 매년 전국 각지를 찾아가 ‘회계·세무 실무세미나’도 연다.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 컨설팅도 일찍부터 시작했다. 2017년 시작한 ‘소상공인 창업아카데미’는 올해까지 320명이 거쳐 갔다. 언제든지 자영업자가 창업과 관련된 고민을 전문가와 상담할 수 있도록 2016년에는 ‘KB소호컨설팅센터’도 세웠다. 전국 13개 센터에서 최근까지 2500건의 자영업자가 컨설팅을 받았다. ‘KB소호멘토링스쿨’은 외식업종과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교육을 열었다.

금융당국의 호평을 받아 시중은행에서도 비슷한 사업을 속속 진행하고 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정책자금을 찾기 어렵다는 의견을 듣고 지난 7월에는 모바일 정책자금 애플리케이션 ‘KB브릿지’를 내놨다. 8600여명이 내려받고 6300여명이 가입했다.

이처럼 KB국민은행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넓혀 가는 이유는 서민경제를 위한 포용금융이 선순환을 가져온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고객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흔들리면 금융기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허인 KB국민은행장은 지난 1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열린 ‘18주년 창립기념식’에서도 “고객보다 더 먼저인 가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11-06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