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2022년까지 완전 민영화한다

우리금융 2022년까지 완전 민영화한다

최선을 기자
입력 2019-06-25 22:28
업데이트 2019-06-26 0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잔여지분 2~3차례 분산 매각… 희망수량 경쟁 입찰 후 ‘블록세일’

정부가 2022년까지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모두 팔기로 했다. 외환위기 이후 진행된 부실 금융회사에 대한 구조조정이 24년 만에 마무리 짓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를 열어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의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올 초 우리금융이 지주사 전환을 완료한 데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잔여지분을 모두 팔아 ‘완전 민영화’를 이루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예보를 통해 우리금융 지분 18.32%를 갖고 있다. 내년부터 3년 동안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나눠서 지분을 판다. 2016년 과점주주 매각 때와 마찬가지로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실시한다. 입찰자들 중 가격 순으로 희망 가격과 물량대로 여러 명에게 낙찰시키는 방식이다. 유찰되거나 남은 물량은 블록세일(시간 외 대량매매)로 처리한다. 이세훈 금융위 구조개선정책관은 “우리금융 주가가 1만 3800원 수준이면 공적자금 100%를 회수하는 것으로 본다”면서 “다만 우리금융 민영화가 우리 금융시장 발전에 기여하는 부분의 편익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주가는 이날 종가 기준 1만 3950원이다.

정부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부터 부실 금융기관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12조 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한일·상업은행을 합병해 옛 한빛은행을 만들고 평화·광주·경남은행과 하나로종금을 더해 2001년 우리금융지주를 출범시켰다. 현재 공적자금 회수율은 87.3%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9-06-26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