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강화 등 부동산시장 위축에도 서울 서북권 나홀로 호황

대출규제 강화 등 부동산시장 위축에도 서울 서북권 나홀로 호황

입력 2016-06-15 13:58
업데이트 2016-06-15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서북권 주변 개발호재로 인한 기업수 상승
서울 서북권 주변 개발호재로 인한 기업수 상승
최근 경기 불황과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부동산 경기의 위축 속에서 몇몇 지역이 개발호재와 직주수요로 인해 반등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서울 서북권은 여러 개발호재로 인해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가재울뉴타운 개발, GTX, 서부 경전철 개발, 각종 재건축·재개발 도시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가 많아 관심과 수요가 꾸준한 지역이다.

서북권 내에서도 은평구는 저밀도 주택이 밀집하여 과거에 낙후됐다는 이미지가 강한 곳이었지만 뉴타운 개발과 재건축, 재개발로 인한 주거환경 개선 등을 통해 이미지를 탈바꿈 하고 있다. 또한 인접지역 개발로 인해 직주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에 반해 아파트 공급이 미미하여 대기 수요가 많고 이는 신규 아파트 분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은평구 녹번역 인근에 아파트를 선보인 ‘힐스테이트 녹번’이 계약 8일 만에 100% 계약 마감했다. 이 단지는 지역 개발호재가 분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11.7대 1(최고 39.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조기 완판이 예상됐었다. 이 외에도 은평스카이뷰자이, 래미안베라힐즈 등 많은 단지들이 조기 계약 마감을 하며 은평구 부동산 인기를 실감케 했다.

이러한 인기는 주변 개발호재로 인한 기업수의 상승에 따른 수요증가라 전문가들은 말한다. 특히 상암 DMC 개발은 많은 인구유입 중 큰 축에 속한다. MBC신사옥이 이전하면서 영상관련 종사자와 기업들이 증가세를 보이는 것.

실제 지난해 6월 서울디지털미디어시티 홈페이지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5년 3분기까지 약 600여 개의 기업이 늘어났으며, 직원수만 해도 4만 명에 달하며 현재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렇듯 늘어나는 기업 수만큼 종사자수 또한 늘어남에 따라 인접지역의 직주수요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에 비해 인접지역의 기입주 아파트 노후되어 있고, 신규 입주물량이 적어 주변지역 신규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응암동에 소재한 아파트는 상암으로 출퇴근하는 직주수요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지역중 한 곳으로 상암DMC까지 차량으로 약 10분 거리일 정도로 인근에 위치해 있는 것은 물론 상암동을 포함한 주변 집값 시세에 비해 매우 저렴하기 때문.

이러한 가운데 응암동 일대에 새 아파트 분양물량이 등장해 수요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GS건설이 이달 서울 은평구 응암3구역을 재건축한 ‘백련산파크자이’가 그 주인공이다.

백련산파크자이는 지하 4층, 지상 10~ 20층 9개동으로 이뤄져 있고, 총 678가구 규모로 이 중 292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특히 전세대가 수요층이 두터운 전용 84㎡이하 주택형으로 구성되어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이 아파트는 우수한 교통으로 인해 분양 전부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지하철 6호선 새절역이 도보 이용가능한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응암역, 3호선 녹번역까지도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 단지인데다 내부순환도로의 진입이 비교적 편리하여, 광화문, 종로 등 도심까지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보통학이 가능한 응암초를 비롯 충암초(사립)중·고교 및 명지초(사립)·중·고교 등으로도 통학이 가능해 교육 환경도 잘 갖추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 외로 단지 인근에 서울시립은평병원, 연세세브란스병원 등 대형 병원이 인접해 있으며 이마트와 NC백화점, 신응암시장, 대림시장이 등 다양한 생활편의시설들이 단지 주위로 형성돼 있어 주거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백련산파크자이의 견본주택은 오는 17일 오픈 예정이며, 현장 홍보관은 은평구 응암동 240-52번지에 운영 중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