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값 폭등에도 이달 중순부터는 가격안정”

“배추 값 폭등에도 이달 중순부터는 가격안정”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0-10-07 16:19
업데이트 2020-10-07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식품부 “김장용 가을배추 대폭 출하”

강원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기온이 뚝 떨어진 지난 6일 아침 강원 평창군 대관령의 배추에 서리가 내려 있다.  평창 연합뉴스
강원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기온이 뚝 떨어진 지난 6일 아침 강원 평창군 대관령의 배추에 서리가 내려 있다.
평창 연합뉴스
최근 태풍·장마 등의 영향으로 배춧값이 폭등했지만, 김장용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져 이달 중순부터는 배춧값이 제자리를 찾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이달 중순부터 출하가 시작돼 11~12월 김장철에 대폭 출하가 늘어나는 가을 배추는 재배면적 증가와 최근 기상 호조로 안정적 수급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달 중순 이후 가을배추 출하량이 증가하면 가격이 점차 내려가 가을배추 성출하기인 11월과 12월에는 고랭지 배추의 절반 이하로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을배추의 평년 한 포기당 소비자가격은 9월 5894원으로 가장 높았다가 11월에는 3023원까지 떨어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배추 소매가격은 6일 기준으로 포기당 1만 911원이다. 한달 전의 9532원보다 14.5% 올랐다. 지난해 같은 시기 가격인 7630원보다는 43.0% 급등한 가격이다. 하지만 현재 배춧값은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장마와 연이은 태풍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고랭지 배추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7월에서 10월까지 출하되는 고랭지배추는 올해 생산량이 평년에 비해 14% 감소한 33만 9000t을 기록했다. 재배면적이 평년보다 7% 감소한 데다 긴 장마와 태풍의 여파 탓이다.

7월에서 10월까지 출하되는 고랭지배추는 여름철 기온이 낮은 강원도 산간지역에서 재배돼 생산량이 많지 않다. 하지만 이달 중순부터 출하되는 가을배추는 생육에 적합한 가을에 전국적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생산량이 고랭지배추의 3배 이상이다.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1만 2783ha로 지난해보다 16%가 늘었고, 생산량도 1239t으로 17%가 증가했다. 11~12월 김장철을 앞두고 주산지인 해남을 비롯한 전국에서 출하되면서 배춧값 하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