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티 디젤차’ 오명 속에서도…국내 경유 소비 사상 최고

‘더티 디젤차’ 오명 속에서도…국내 경유 소비 사상 최고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5-19 09:20
업데이트 2016-05-20 1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디젤차에 각종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올 1분기 국내 경유 소비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앙일보가 한국석유공사가 운영 중인 석유 정보 사이트인 ‘페트로넷’의 판매 추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경유 소비는 3974만9000배럴로 매년 1분기 단위 판매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보다 233만8000배럴(6.2%)이나 소비량이 늘었다. 같은 기간 휘발유 사용량은 1853만 배럴에서 1904만 배럴로 51만 배럴가량 소비가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경유 사용량이 늘어난 이유는 그만큼 디젤차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본다. 이는 최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열풍에 힘입은 바가 크다. 특히 수입차의 경우 디젤차 구매 비율이 압도적이다. 지난해 판매된 전체 수입차 중 68.9%인 16만7925대가 디젤차였다. 2010년에는 신규 등록 수입차 중 35.2%(3만6931대)가 디젤차였던 데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국내 경유 소비량 중 75% 정도는 승용차를 비롯한 운송용으로 쓰인다는 게 정유업계의 분석이다.

디젤차가 각광받는 배경에는 경유 특유의 독특한 가격구조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달 기준으로 휘발유와 경유의 생산원가는 L당 496원으로 같다. 하지만 휘발유에는 L당 870원의 세금이, 경유에는 631원의 세금이 각각 붙는다. 이러다 보니 제품 판매가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휘발유는 63.7%, 경유는 56%다. 한국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다섯째로 경유에 붙는 세금이 적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