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놓칠라”… 케이블TV 3개사 동시에 매물로

“시기 놓칠라”… 케이블TV 3개사 동시에 매물로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6-10 20:48
업데이트 2020-06-11 09: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OTT 콘텐츠 소비 늘어 시장서 위축

경쟁력 떨어져 가입자 유지도 불안
“지금 팔아야 그나마 제값 받아” 판단
‘큰 장’ 열려 이통3사 눈치싸움도 치열
이미지 확대
유료방송 인수합병(M&A) 시장이 갑자기 뜨거워졌다. 현대HCN에 이어서 최근에 딜라이브와 CMB까지 “회사를 팔겠다”고 선언해 한꺼번에 3곳이 매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현대HCN은 인수 의사를 밝혔던 이동통신 3사와 예비실사를 진행 중이고 딜라이브도 관심을 보이는 곳들과의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 CMB도 최근 매각을 공식화하면서 의향이 있는 업체 물색에 나섰다.

케이블TV 3사가 한꺼번에 매물로 쏟아져 나온 것은 “지금 팔아야 그나마 제값을 받는다”는 위기감이 생겼기 때문이다. 인터넷TV(IPTV)를 앞세운 이통 3사가 유료방송 시장의 약 80%를 잠식한 가운데 소규모 케이블TV 업체들이 경쟁력을 가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통 3사는 자금력과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콘텐츠나 마케팅 측면에서 케이블TV 업체들을 압도하고 있다. 더군다나 요즘에는 유료방송 대신에 넷플릭스나 웨이브, 티빙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로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케이블TV가 더욱 위축된 상황이다.

이통 3사 입장에서도 포화 시장이 된 유료방송에서 가입자 수를 늘리려면 M&A가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이제는 IPTV망도 충분히 깔려 있어 가입자가 늘어나는 것에 비례해 소요되는 설비 투자 비용이 많지 않다. 가입자가 많아질수록 수익이 극대화되는 구조다.

이상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는 “갈수록 경쟁력이 떨어지는 케이블TV 업체는 언제까지 현재 가입자 수를 유지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될 것”이라며 “세계적으로도 유료방송 시장에서 M&A가 활발하다. 우리나라 인구수를 생각하면 4~5개 업체로 재편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큰 장’이 열리면서 이통 3사의 눈치싸움도 치열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HCN 쪽에서는 매각 대금으로 7000억원가량을 염두에 두고 있으나 이통 3사는 4000억원대를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수천억원의 큰돈이 들기 때문에 한 회사가 3곳을 모두 인수하지는 못한다”면서 “어디가 알짜인지를 놓고 이통 3사가 열심히 주판알을 튀기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06-11 2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