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톱 꺼낸 화웨이, 삼성 맞서 기술력 과시… 특허공유 포석도

발톱 꺼낸 화웨이, 삼성 맞서 기술력 과시… 특허공유 포석도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5-25 18:20
업데이트 2016-05-25 1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T 업계 ‘제2 특허전쟁’ 왜

美소송으로 인지도 높인 뒤 진출
中소송 통해 안방서 삼성 견제

특허 건수 삼성 절반도 안돼
스마트폰 관련 특허 공유 노린듯

이미지 확대
이달 초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화웨이 스마트폰 대리점에서 판매 사원들이 제품을 들여다보고 있다. 베이징 AP 연합뉴스
이달 초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화웨이 스마트폰 대리점에서 판매 사원들이 제품을 들여다보고 있다.
베이징 AP 연합뉴스
화웨이는 중국에서 ‘늑대’(狼)로 불린다. 예민한 후각으로 시장의 수요를 포착하고 진취적으로 시장을 개척한다는 뜻이다. 삼성전자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한 것을 놓고 화웨이가 ‘늑대의 발톱’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화웨이가 삼성, 애플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기술력을 갖췄음을 세계에 과시하고 삼성과의 특허 공유 협상까지 이끌어내기 위한 다목적 포석으로 읽힌다. 업계에서는 2011년 시작된 삼성과 애플의 특허 소송을 잇는 제2의 글로벌 IT업계의 ‘특허전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화웨이는 이번 소송으로 미국에서는 자사의 인지도를 높이고 안방인 중국에서는 삼성을 견제하는 ‘일거양득’ 효과도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신흥시장에서는 저가 제품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전략 스마트폰 ‘P9’ 등을 앞세운 ‘프리미엄’ 이미지로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중국 IT 기업들에 드리워진 ‘짝퉁’의 오명을 벗는 게 급선무로, 과거 중국 IT기업들이 삼성 등 글로벌 기업들의 특허 소송 대상이었던 것에서 벗어나 전세를 뒤집어 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애플과 삼성이 특허 소송을 벌이면서 삼성이 애플에 맞서는 안드로이드 진영의 선두주자로 입지를 다진 것과 같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화웨이가 애플, 퀄컴과 한 것처럼 삼성전자와도 특허 공유(크로스 라이선스)를 하기 위한 시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화웨이가 보유한 특허는 5만여건이지만 삼성이 보유한 특허는 11만여건이다. 그래서 화웨이가 삼성의 스마트폰 관련 특허들을 공유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딩젠신(丁建新) 화웨이 지식재산권부장이 “삼성은 특허권 침해를 중단하고 필요한 허가를 확보해 해당 산업이 발전해 나가는 데 함께 힘쓰기를 바란다”고 밝힌 점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해 준다. 실제로 글로벌 IT업계 간 특허 소송은 양사 간 특허 공유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는 화웨이의 승소가 확실하고, 미국은 화웨이가 정식 진출하지 않은 상태라 삼성이 화웨이를 상대로 특허 침해 소송을 걸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소송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치밀하게 전략을 세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삼성이 강경 대응을 시사하면서 일단 전면전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삼성전자의 전사적 특허 관리를 맡은 안승호 삼성전자 지식재산권센터장(부사장)은 맞소송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이 쉽사리 화웨이와 특허 공유 협상 테이블에 앉을 가능성은 낮다”면서 “화웨이가 진출한 나라들에서 맞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5-26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