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데이터시장 3G와 비디오가 견인…59% 성장”

“모바일 데이터시장 3G와 비디오가 견인…59% 성장”

입력 2015-02-21 10:37
업데이트 2015-02-21 1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전 세계 모바일 데이터시장이 3G와 비디오를 두 축으로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21일 미국의 IT 리서치·컨설팅 전문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5천182만492테라바이트(TB)로 전년 대비 5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작년 우리나라 전체 사용량(13만2천313TB)의 390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또 내년도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은 올해 대비 53% 증가한 7천952만7천408TB에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성장 속도는 2013년(80%) 및 2014년(71%)과 비교하면 다소 느려진 것이다.

가트너는 올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비디오’를 꼽았다. 모바일 비디오는 현재 전체 데이터 소비량의 절반을 차지하는데 2018년이면 60%로 그 비중이 확대된다.

지금까지의 모바일 데이터 성장이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에 의존했다면 이제는 비디오·스트리밍 음원서비스 등 모바일앱이 데이터 시장을 견인한다는 것이다.

이동통신서비스 유형별로는 당분간 3G가 데이터 트래픽 성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중동·아프리카·중남미 등 주요 성장 시장에서는 여전히 4G보다 3G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8년에는 4G가 전체 데이터 트래픽의 46%를 차지하면서 전세가 서서히 4G로 기울 전망이다. 같은 해 4G 스마트폰당 평균 데이터 이용량도 5.5기가바이트(GB)로 3G 스마트폰의 3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