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PC웹브라우저 시장 87%는 ‘인터넷익스플로러’

국내 PC웹브라우저 시장 87%는 ‘인터넷익스플로러’

입력 2015-02-12 07:33
업데이트 2015-02-12 0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진흥원,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 현황조사 결과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여전히 PC 웹브라우저 시장의 90% 가까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미래창조과학부와 함께 시행한 ‘2014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 현황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인터넷 이용자들의 인터넷 이용환경 현황을 파악해 단말·운영체제(OS)·웹브라우저에 상관없이 인터넷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의 하나로 마련됐다.

MS의 IE는 87.5%를 차지해 PC 웹브라우저 중 가장 점유율이 높았다.

국내 PC 웹브라우저의 IE 점유율은 해외 통계(스탯카운터)에서 74.1%로 낮아지는 추세로 발표됐으나 실제 점유율은 87.5%로 IE 종속성 완화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또 MS사에서 지원 종료 또는 예정인 운영체제(XP·Vista 등) 사용자가 21.8%였고 최신 웹브라우저 미사용자(IE6∼IE10)가 51.5%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은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가 73.6%, 태블릿PC는 애플사의 사파리가 80.9%로 각각 점유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PC 환경에서 운영체제인 윈도에 웹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얹는 등의 독점 및 잠금 현상도 인터넷 이용환경 전반에서 나타났다.

모바일 환경에서도 구글-안드로이드 브라우저, 애플-iOS(사파리) 등 동일하게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운영체제, 웹브라우저 등 인터넷 이용환경과 관련된 정부 정책과 기업 사업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매년 상하반기에 걸쳐 인터넷 이용환경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량이 많은 국내 100대 웹사이트 중 13개 사이트와 협조해 진행됐다.

운영체제별 웹브라우저 점유율 등 더 상세한 조사 내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HTML5 기술지원센터 홈페이지(www.koreahtml5.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KISA는 올해를 액티브X 저감 및 HTML5 도입 확산을 통한 선진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의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총 4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비표준 대체기술 개발·도입 시범사업, 글로벌 웹 표준 전환지원 시범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한 기업 지원 사업설명회가 12일 오후 2시 서울 한국광고문화회관에서 개최된다.

심동욱 KISA 인터넷환경개선팀 팀장은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PC환경, 모바일, 콘텐츠 등 ICT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 의존성을 완화하고 웹 호환성을 확보해 이용자 불편을 줄이는 등 선진적인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다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