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바꾼 ‘보험사기’… 허위 입원 줄고, 고의 사고 늘었다

코로나가 바꾼 ‘보험사기’… 허위 입원 줄고, 고의 사고 늘었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0-12-22 18:02
업데이트 2020-12-23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상반기 적발액 4526억… 역대 최고
무직·일용직·요식업 생계형 사기 급증

올 상반기 허위 입원은 줄고 보험금 빼내는 게 쉬운 허위 장해 비중은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보험사기 흐름도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액은 45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392억원) 증가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적발 인원만 4만 7417명으로 1년 전보다 10.0% 증가했다.

유형별로 보면 허위 입원 적발 사례는 2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3%(127억원) 감소했고 허위 장해는 51%(137억원), 허위 진단은 30.5%(27억원) 늘었다. 특히 자동차 고의 충돌이 40.9%(57억원) 증가한 것을 비롯해 고의 사고 사례는 28.3%(147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병원 과장 청구는 431.6%(114억원), 정비공장 과장 청구는 92.4%(32억원) 늘어나는 등 자동차 사고 관련 피해 과장이 52.5%(14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보험설계사 같은 전문종사자 보험사기는 감소하고 무직·일용직과 요식업 종사자 등 생계형 보험사기 비중이 증가했다. 보험사기를 저지른 무직·일용직은 22.9%(921명), 요식업 종사자는 137.0%(1144명)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40~50대 중년층의 적발 비중이 44.2%(2만 958명)로 가장 높았다. 특히 10~20대 청년층의 보험사기가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이 67.9%(3만 2203명)로 여성(32.1%·1만 5214명)보다 많았다. 남성의 음주·무면허 운전, 운전자 바꿔치기 등 자동차 보험사기로 적발된 인원은 2만 2087명으로 여성(5768명)보다 3.8배 많았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0-12-2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