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연속 뒷걸음질 친 제조업

2분기 연속 뒷걸음질 친 제조업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11-06 14:30
업데이트 2020-11-06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국내공급지수 102.7...0.3% 감소
국내 생산활동 위축으로 중간재 감소 영향
유류 소비 감소로 석유정제 10.8% 감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제조업 국내 공급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지난 3분기 102.7(2015년=100)로 1년 전보다 0.3% 감소했다. 지난 2분기(-4.5%) 마이너스로 돌아선 데 이어 다시 뒷걸음질쳤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가액(실질)을 나타낸 것으로, 내수 시장의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제조업 제품은 중간재(광공업과 다른 산업의 원재료, 연료, 부품 등으로 투입되는 재화)와 최종재로 구분되고, 최종재는 다시 자본재(각 산업에서 생산 관련 활동에 1년 이상 사용되는 기계장비)와 소비재로 나뉜다.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감소는 국내 생산활동 위축으로 중간재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 중간재는 나프타, 백라이트유닛, 제트유 등을 중심으로 2.2% 감소했다. 반면 최종재는 자본재 공급이 웨이퍼 가공 장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등이 증가하면서 5.0% 증가했다. 소비재 공급도 의약품, 레저용차량(RV), 대형승용차 등이 늘어 1.2%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코로나19로 국내외 이동이 줄어들어 유류 소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석유정제가 10.8%가 감소했다.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 폭이다. 자동차와 건설업 부진으로 1차 금속도 8.6% 감소했고, 금속 가공 역시 6.4% 감소했다. 반면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기계 장비(10.9%)는 증가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