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전세 심리지수 4년 9개월만에 최고…임대차 3법 영향으로 풀이

지난달 서울 전세 심리지수 4년 9개월만에 최고…임대차 3법 영향으로 풀이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08-14 14:00
업데이트 2020-08-14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달 120.2에서 11포인트 오른 131.2 기록
집주인 임대료 올려받으면서 심리지수 상승
세종 매매 심리지수 역대 최고 176.7

서울 송파구 롯데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전경. 서울신문 DB
서울 송파구 롯데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전경.
서울신문 DB
국회에서 임대차 3법 처리 논의가 본격화됐던 지난달 서울의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가 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7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달 120.2에서 11.0포인트 오른 131.2를 기록했다. 2015년 10월 139.5를 찍은 이래 4년 9개월만에 최고 기록이다.

이 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680가구와 중개업소 2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한 것이다.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된다.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분류된다.

국회에서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 등 임대차 3법 처리 논의가 본격화된 가운데 집주인들이 신규 계약에 대해 임대료를 대폭 올려받으면서 전월세가 큰 폭으로 오르자 심리지수도 같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서울과 세종이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달 150.1보다 5.4포인트 오른 155.5를 기록했다. 9·13 종합 부동산대책 직전인 2018년 8월 155.9 이후 1년11개월 만에 최고치다. 세종의 매매 심리지수는 전달 151.3보다 25.4포인트 오른 176.7로 연구원이 이 지역에 대한 심리지수를 공표하기 시작한 2018년 12월 이후 최고기록을 세웠다. 여권의 행정수도 이전 논의와 함께 집값이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소비심리도 크게 오른 것으로 보인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