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공기관 임원에 성과급 10% 이상 자율 반납 권고

정부, 공공기관 임원에 성과급 10% 이상 자율 반납 권고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06-19 16:19
업데이트 2020-06-19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원도 일부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수령 권고

홍남기(왼쪽 두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왼쪽 두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위기 고통분담 차원에서 공공기관 임원은 성과급 10%(금융형 기관은 15%) 이상을 자율 반납하고, 직원도 일부를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수령하라고 정부가 권고했다.

기획재정부는 19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장관 주재로 제6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의 권고안을 ‘2019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대상인 129개 공공기관에 전달했다. 이에 따라 36개 공기업과 50개 준정부기관, 43개 강소형 공공기관(300인 미만)의 기관장, 감사, 상임이사 등 모든 임원은 성과급 10% 이상을 반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서 자율적으로 임금을 반납한 경우는 이 금액을 제외하고 반납할 수 있도록 했다. 반납분은 근로복지진흥기금 등에 자발적으로 기부해 위기극복 재원으로 쓰인다. 정부는 또 공공기관 직원도 단체협약을 거쳐 성과급 일부를 지역사랑상품권과 온누리상품권 등으로 지급받도록 권고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세균 국무총리 등 정부 장·차관급 이상 고위직 140여명은 4개월간 급여 30%를 반납했으며, 근로복지진흥기금으로 들어가 실업대책에 쓰이고 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