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회장 “생즉사 사즉생 없는 쌍용차… 돈만으로 못 살린다”

산은 회장 “생즉사 사즉생 없는 쌍용차… 돈만으로 못 살린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20-06-17 20:56
업데이트 2020-06-18 0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힌드라·쌍용차 노사에 자구노력 압박

“기안기금 대상 아니지만 생존 가능성 고민”
지원 확답 없이 새달 900억 대출만기 연장
현산엔 ‘아시아나 인수’ 대면 재협상 촉구
“60년대 연애도 아니고 왜 편지 협의하나”
이미지 확대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연합뉴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연합뉴스
심각한 경영난을 겪는 쌍용자동차의 공적 자금 지원 여부를 두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이 “돈만으로는 기업을 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대주주인 인도의 마힌드라와 쌍용차 노사가 정부 지원을 호소하기 전에 자구 노력을 다해 회사의 지속 가능성을 입증해 보이라는 압박이다.

이 회장은 17일 온라인 언론 브리핑을 통해 “다양한 자료를 보며 쌍용차의 생존 가능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쌍용차 노사가 모든 것을 내려놓고 ‘생즉필사 사즉필생’(生則必死 死則必生·살려고 하면 죽고, 죽으려 하면 산다)의 자세를 보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얘기다. 쌍용차는 산은으로부터 1900억원을 대출받았다. 또 산은이 운영을 총괄하는 기간산업안정기금(기안기금·총 40조원 규모)의 지원도 바라고 있다.

최대현 산은 기업금융부문 부행장은 브리핑에서 “쌍용차는 현재 기준상 기안기금 지원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안기금은 코로나19 여파로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를 겪는 업체에 지원하는 게 목적인데 쌍용차는 12분기 연속 적자를 내는 등 만성적 경영난을 겪어 왔기 때문이다. 다만 최 부행장은 “쌍용차가 지원받으려면 책임 주체가 의지를 가지고 노력을 해야 하고, 회사의 지속 가능성도 확인돼야 한다”면서 “두 전제가 충족되면 정부와 지원 방안을 협의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음달 쌍용차가 갚아야 할 대출금 900억원을 회수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만기 연장의 뜻을 밝혔다.

산은 경영진의 이날 발언은 정부 지원을 막연히 재촉하는 쌍용차 측에 ‘돕지 않을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내비쳐 대주주와 노사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산은은 또 HDC현대산업개발(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문제를 두고는 현산 측이 재협상 테이블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부행장은 “저희는 대면 협상을 요구했지만 현산 측으로부터 회신을 받은 것이 없다”고 말했다. 또 이 회장은 상호 신뢰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현산이) 서면 협의를 얘기했는데 60년대 연애도 아니고 무슨 편지를 하느냐”고 비판했다. 산은은 “(현산이) 아시아나항공의 부채가 최근 4조 5000억원이나 증가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는 “회계 기준 변경 때문에 부채가 늘어난 것이고, 증가액도 현산 측이 과대하게 산정했다”고 반박했다.

최 부행장은 또 이 회장이 최근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을 만난 사실을 소개하면서 “(박 회장이) 신속히 자구 계획을 이행하고 에너지 기업으로 가겠다고 했다”고 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0-06-18 1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