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임상 성공적”…주가 19.96% 급등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임상 성공적”…주가 19.96% 급등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5-19 20:04
업데이트 2020-05-19 2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의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본사 앞에 18일(현지시간)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케임브리지(미국) 로이터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의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본사 앞에 18일(현지시간)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케임브리지(미국)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Moderna)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내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모더나의 주가는 올해 초 19달러(한화 약 2만3000원) 수준이었지만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나서면서 네배 이상 급등했다. 18일(현지시간) 1상 임상시험에서 시험 참가자 전원에 항체가 형성되는 긍정적 결과가 나왔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모더나의 주가는 19.96% 급등해 주당 80달러(9만8000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스테판 밴셀 최고경영자(CEO)가 보유한 모더나 지분 9%의 가치는 24억5000만달러(3조원)로 치솟았다. 2011년 모더나의 최고경영자로 취임한 지 9년 만에 막대한 자산을 소유하게 된 것.

모더나 주식의 3.2%를 보유하고 있는 보브 랭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교수도 억만장자가 됐다. 바이오와 제약, 화학 등의 분야에서 400개가 넘는 특허를 보유한 랭어 교수의 자산 가치는 9억3430만달러(1조1460억원)로 집계됐다.

모더나 창업 초기인 2010년 500만달러(60억원)를 투자한 티머시 스프링어 하버드대학 생물학과 교수의 자산은 13억8000만달러(1조6900억원)로 뛰어올랐다. 10년간의 수익률은 2만7500%에 달한다.

모더나의 공동창업자인 누바 아폐얀 회장의 개인 지분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아폐얀 회장이 이끄는 법인은 모더나의 최대주주이고, 지분 가치는 32억7000만달러(4조원)에 달한다.

한편 이날 모더나는 자사가 미 정부와 함께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mRNA-1273’이 18~55세 성인 남녀 45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1상에서 “긍정적인(positive)”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임상1상은 45명의 참가자를 3개 그룹으로 나눠 각각 25㎍(마이크로그램)과 100㎍, 250㎍ 등 다른 양의 백신 후보물질을 약 1개월 간격으로 2차례(250㎍은 1차례) 투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25㎍을 투여한 그룹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자연 회복한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항체가 형성됐으며, 100㎍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이를 능가하는 수준의 항체가 형성됐다. 25㎍과 100㎍을 투여한 그룹 중 최소 8명에게서 중화항체가 확인됐다. 250㎍을 투여한 3명에서 부작용이 나타났지만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고 모더나 측은 설명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