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라임 환매’ 관련 KB증권 검사 착수

금감원 ‘라임 환매’ 관련 KB증권 검사 착수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0-05-12 22:04
업데이트 2020-05-13 0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한금투·대신증권 이어 현장 조사…은폐·부실 판매 혐의 확인할지 주목

이미지 확대
라임사태 이미지. 서울신문DB
라임사태 이미지. 서울신문DB
금융감독원이 12일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KB증권 부문 검사에 돌입했다. 금감원이 은폐와 부실 판매 등을 확인한 신한금융투자와 대신증권 반포WM지점에 이어 KB증권에 대한 혐의도 확인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KB증권 관계자는 “금감원이 오늘부터 검사를 나와 있는 상태”라며 “검사받는 입장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 주긴 어렵다”고 말했다.

금감원이 KB증권 현장 검사에 나선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두 번째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6월 증권사 총수익스와프(TRS) 계약과 관련해 이상 징후를 포착하고 라임과 신한금투, KB증권 등에 대한 검사를 벌인 바 있다.

KB증권은 환매 중단된 라임 자(子)펀드를 총 681억원어치 판매했다. 그러나 KB증권은 일종의 담보 대출인 TRS 계약을 통해 1000억원 규모의 레버리지를 라임에 제공하고 지난해 17억원의 수수료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KB증권이 TRS 관련 내부 통제 부실로 고객과 다른 판매사에 피해를 끼친 것이 아닌지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TRS는 일종의 대출이어서 투자자보다 우선 변제권을 갖는다. TRS는 운용사 입장에선 투자 규모를 키워 수익을 늘릴 수 있지만, 부실이 드러나면 손실도 커지는 구조다.

지난해 말 기준 라임 펀드에 대한 KB증권의 TRS 총계약규모는 4540억원으로 신한금투(9022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신한금투처럼 해외 무역금융펀드를 사실상 주도한 것이어서 KB증권의 책임론이 불거지는 이유다. 삼일회계법인 실사 결과에 따르면 KB증권이 판매한 ‘라임AI스타 1.5Y 1~3호’ 펀드는 총 472억원 모두 전액 손실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금감원은 라임AI스타 펀드 관련 불완전판매 여부도 조사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앞서 지난달 초부터 약 4주간 KB증권에 대한 서면 검사를 진행해 TRS·파생결합증권(DLS) 규정을 비롯해 라임이 판매한 홍콩 더센터빌딩과 영국 신재생발전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해외 투자자산 매각 과정을 검사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20-05-13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