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車, 유럽서 7년반째 ‘도요타그룹+혼다’ 앞섰다

한국 車, 유럽서 7년반째 ‘도요타그룹+혼다’ 앞섰다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9-02 09:43
업데이트 2019-09-02 0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기아차, 84만대 더 팔아…맞춤형 전략에 디자인 선호도 높아

이미지 확대
21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쏘나타 신차 발표회에서 이광국 현대차 부사장이 신차에 대해 설명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쏘나타 신차 발표회에서 이광국 현대차 부사장이 신차에 대해 설명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기아차가 국내 시장 외에선 유일하게 서유럽에서 일본 도요타그룹보다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도요타와 렉서스 뿐 아니라 혼다를 합한 판매량까지 추월한 이래 7년 6개월 동안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1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럽시장에서 현대차는 28만4천396대, 기아차는 26만8천305대 등 총 55만2천701대를 판매했다.

이 기간 도요타그룹과 혼다를 합한 판매량(48만1천471대)보다 약 7만대가 많다.

도요타는 38만7천360대로 개별적으로는 현대나 기아보다 많지만 렉서스(2만7천510대), 혼다(6만6천601대)를 합해서 비교해보면 현대차그룹보다 적다.

이런 구도는 2012년 이래 계속되고 있다.

2011년엔 현대·기아차가 68만9천574대, 도요타그룹·혼다가 70만5천195대였는데 이듬해 순서가 뒤집혔다.

현대차그룹이 77만2천196대로 늘어난 반면 도요타 등은 68만4천431대로 축소됐다.

이후 매년 7만6천∼14만3천대씩 차이가 나서 누적으로는 현대차그룹이 총 83만9천대를 더 팔았다.

현대·기아차는 유럽 판매가 2012년에 70만대, 2015년에 80만대, 2016년에 90만대를 넘었고 지난해에는 유럽 시장 진출 41년 만에 100만대를 돌파했다.

현대·기아차는 1977년 ‘포니’ 300대를 수출하며 유럽에 진출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기아차는 유럽 맞춤형 전략이 통했는데 도요타 등 일본 업체들은 유럽 시장 흐름과 잘 맞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유럽 시장이 디젤차 중심이었는데 일본차는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모델이 많았다.

현대·기아차는 예전엔 디젤 모델로, 친환경차가 주력인 최근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를 내세우고 있다.

또, 현대·기아차가 유럽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을 지향하는 편이고 모터스포츠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진 점도 한 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일본차 전체에 비해서는 한국차의 존재감이 약하다. 닛산, 마즈다 등을 포함하면 총 90만5천572대로 현대·기아차의 두 배에 육박한다.

닛산이 21만7천137대, 마즈다가 12만4천813대, 미쓰비시가 8만2천151대다.

올해 상반기 현대·기아차의 유럽 판매는 작년 동기보다 0.3% 감소하며 제자리걸음을 했다.

기아차는 1.6% 늘었지만 현대차가 2.1% 감소했다.

도요타그룹·혼다는 2.2% 줄었다. 도요타는 -0.4%, 혼다는 -15.4%다. 렉서스는 11.1% 늘었다.

상반기 유럽 자동차시장은 3.1% 후진하는 추세다.

지역별로 영국은 -3.4%, 스페인 -5.7%, 이탈리아 -3.5%, 프랑스 -1.8%였고 독일만 0.5% 성장했다.

시장 점유율은 현대차는 3.0%로 1년 전과 같았다. 기아차는 3.2%로 니로와 스토닉, 씨드 판매 호조에 힘입어 0.2%포인트 상승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