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타격… 관세 36%·보조금 20% 낮춰야

농산물 타격… 관세 36%·보조금 20% 낮춰야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07-28 23:46
업데이트 2019-07-29 04: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WTO 규정 무시도 美 반대도 쉽지 않아
정부 “차기 농업협상 타결 때까진 유지”

우리나라에 또 하나의 통상 악재가 추가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한국 등 일부 국가가 세계무역기구(WTO)에서 개발도상국 지위를 이용해 부당한 특혜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는 데다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개도국 대우를 중단하겠다고 밝혀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미국의 주장대로 WTO의 개도국 규정 방식이 바뀌더라도 “현재 적용되는 농산물 관세나 보조금은 차기 농업협상 타결 때까지 그대로 유지된다”고 28일 밝혔다. 또 개도국 지위에서 내려와도 관세율·농업보조금 등은 다자 협상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WTO의 개도국 분류는 각 국가가 선언하면 결정되는 ‘자기 선언’ 방식이다. 그런데 미국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혹은 가입 절차가 진행 중인 국가 ▲세계은행 기준 고소득 국가 ▲세계 무역량 0.5% 이상인 국가 등 4가지 조건 중 1개라도 해당이 되면 개도국 혜택을 받아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우리나라는 이 4가지 사안에 모두 해당한다.

우리나라가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지위가 바뀌면, 10년간 24%만 낮추면 됐던 농산물 관세를 36%나 낮춰야 한다. 또 13.3%만 낮추면 됐던 농업 보조금도 20%나 줄여야 한다.

우리 입장에선 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는 게 좋지만 미국의 주장을 마냥 무시할 수가 없다. 일본을 WTO에 제소해야 하는 상황에서 WTO가 규정을 바꿀 경우 이를 외면하기 어렵고, 한일 무역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맡을 미국 주장에 반대만 하는 것도 쉽지 않아서다. 정부 관계자는 “개도국 지위 유지와 일본에 대한 WTO 제소는 별개 사안”이라면서 “통상 관련 대응 사안이 쉽지 않게 얽혀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07-29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