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日 금융자금 회수해도 우리나라 대응여력 충분”

KIEP “日 금융자금 회수해도 우리나라 대응여력 충분”

입력 2019-07-26 18:25
업데이트 2019-07-26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에 더해 금융기관을 통한 ‘금융보복’ 우려가 커진 가운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혹 일본이 자금을 회수하더라도 정부, 민간 차원에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일본 자금에 대한 낮은 의존도와 4031억달러를 넘긴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이러한 판단을 내린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26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내놓은 ‘일본 금융자금의 회수 가능성 및 파급영향 점검’ 보고서를 보면, 우선 연구원은 일본의 금융보복 가능성 자체를 낮게 평가했다. 연구원은 “보복조치 발동시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될 뿐 아니라 상호연계성이 강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위상 및 신뢰도 저하 등으로 일본계 은행이 자금 회수를 실행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설령 일본이 금융보복을 하더라도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게 연구원의 입장이다. 실제 지난해말 기준 우리나라로 흘러들어온 일본계 은행의 자산규모는 563억달러로, 우리나라 은행 총자산 2조 2602억달러의 2.5% 수준에 불과하다.

연구원 관계자는 “기업들 역시 충분한 자산보유액을 갖춰 외부적 요인에 의한 급격한 자금유출에 대해 지불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2018년말 기준 우리나라 주요기업의 총 보유액은 254조원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일본계 은행 국내기업 여신 23조 5000억원을 크게 상회한다.

외환보유액 규모도 우리나라의 대응능력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다. 지난달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031억달러로 글로벌 은행의 우리나라 여신규모(2894억달러)를 크게 초과한다. 아울러 한국은행은 안정적인 재정 자원을 확보하고 금융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외국 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와프도 확대한 상태다. 특히 2017년 11월에는 기축통화국인 캐나다중앙은행과 한도와 만기를 특정하지 않은 통화스와프를 체결한 바 있다.

연구원은 “금융시장에서 인식하는 한국의 부도 가능성 지표는 1일 일본의 수출규제안 발표 이후에도 상승하지 않았다”며 “일본계 은행의 우리나라 기업 여신도 재무구조가 건전한 대기업에 집중돼 자금회수가 시스템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세종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