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소득 3만달러 돌파…2018 → 2017년입니다

1인 소득 3만달러 돌파…2018 → 2017년입니다

장세훈 기자
입력 2019-06-04 18:00
업데이트 2019-06-05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국민계정 통계 개편 기준 적용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 달러를 넘은 시점이 지난해에서 2017년으로 1년 앞당겨졌다.

한국은행은 국민계정 통계 기준연도를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한 결과 1인당 GNI가 이처럼 상향 조정됐다고 4일 밝혔다. 한은은 경제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하기 위해 기준연도를 5년마다 변경하고 있다.

기준연도 개편에 따라 2017년 1인당 GNI는 당초 2만 9745달러에서 3만 1734달러로 증가했다. 2018년 1인당 GNI는 3만 1349달러에서 3만 3434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시기는 2006년(2만 795→2만 1664달러)에서 바뀌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국의 1인당 GNI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까지 걸린 기간은 12년에서 11년으로 단축됐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상향 조정됐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질 GDP 연평균 성장률은 기존 3.8%에서 3.9%로 0.2% 포인트(소숫점 둘째 자리 표기 시 0.16% 포인트) 올랐다. 다만 지난해 성장률은 2.7%로 변화가 없었다.

또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공유경제 생산 규모도 이번 개편에 처음 반영됐다. 그동안 개인 간 거래(P2P)로 이뤄지는 공유경제의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에어비앤비 등 숙박공유, 카풀 등 승차공유, 프리랜서 등 재능공유 부문의 생산 규모는 지난해 기준 1978억원으로 집계했다.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01%에 불과하지만 2015년에는 204억원에 불과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파른 성장세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9-06-05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