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공시한 상장사 1분기 영업이익 41.5% 급락

실적 공시한 상장사 1분기 영업이익 41.5% 급락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9-04-28 22:30
업데이트 2019-04-29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도체·디스플레이·화학 등 부진…개선 기미 안 보여 주력산업 위기

이미지 확대
어닝쇼크 수준으로 악화된 1분기(1~3월) 실적을 발표하는 상장 기업들이 늘고 있다. 주력 수출산업인 반도체 부진에 더해 에너지저장장치(ESS)·화학 등 미래 먹거리 산업군의 실적도 곤두박질쳤다. 2분기 개선 기미도 좀처럼 보이지 않아 올해 한국 주력 산업 위기가 가시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에프앤가이드는 지난 25일까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67곳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을 총 19조 26억원으로 28일 집계했다. 지난해 1분기 32조 4841억원에 비해 41.50% 이익이 줄었다. 지난해 1분기보다 21.07% 개선을 이룬 현대차와 94.40% 실적이 향상된 기아차 등 자동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이 부진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부진이 전체 실적 하락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 LG디스플레이의 1분기 영업적자 규모는 1320억원으로 어닝쇼크를 안겼다. 또 삼성전자는 60.36%, SK하이닉스는 68.71%씩 전년 대비 1분기 영업이익이 급감했다고 공시했다. 반도체 투톱인 두 회사의 실적 악화는 글로벌 반도체 슈퍼 호황이 마무리된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견된 일이었지만, 실제 발표된 실적은 시장이 예상한 우려 정도를 벗어났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3일 이례적으로 자율공시를 내고 실적 부진을 예고하기도 했다.

배터리·화학 기업 실적엔 업황 부진과 더불어 정책 리스크까지 영향을 미쳤다. ESS 화재 비용이 반영된 LG화학의 1분기 영업이익은 2753억원으로 1년 전보다 57.69% 악화됐다. 3월 말로 예정됐던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 조사위원회 원인 발표가 지연되면서 ESS 신규 발주 등 생태계 전반으로 위협이 확대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의 1분기 영업이익은 3310억원으로 53.48% 악화됐다. 다만 SK이노베이션은 전 분기 적자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 2분기 실적 개선 기대도 받고 있다.

주요 기업,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개선될지를 놓고 회의적인 전망이 많다. 에프앤가이드가 증권사 3곳 이상 실적 전망치가 있는 220개 상장사들의 올 2분기 영업이익 총액을 28조 3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2분기 40조 8000억원보다 30.6% 감소한 실적이다. 에프앤가이드는 특히 전기전자, 자동차, 화학, 디스플레이 등 국내 간판 기업들이 포진한 매출 상위 15개 기업 가운데 9곳의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9-04-2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