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추경만으론 경제활력 회복 어려워”…2차 추경엔 선긋기

홍남기 “추경만으론 경제활력 회복 어려워”…2차 추경엔 선긋기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4-25 11:35
업데이트 2019-04-25 1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규제완화 이어가겠다…민간 스스로 투자·고용 창출 노력 필요”

이미지 확대
긴급관계장관회의 마치고 인터뷰하는 홍남기 부총리
긴급관계장관회의 마치고 인터뷰하는 홍남기 부총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관계장관 회의를 마친 후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9.4.25
연합뉴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가능성에 대해 일단 선을 그었다.

홍 부총리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분기 경제 역성장 관련 대응방안 논의를 위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 추경안이 국회에 접수됐다”며 “추경안을 접수한 날 추가 추경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가능한 조기에 추경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추경 편성만으로 경제활력 회복 조치가 되는 것은 아니기에 민간투자가 잘 일어나도록 규제 완화 조치를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올해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 수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모든 정책 역량과 조치를 통해 당초에 목표로 제시한 2.6%의 성장률을 달성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며 “6월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할 때 여러 가지 사안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겠지만 지금은 성장률 달성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투자 부진과 관련해 민간의 적극적인 역할도 요청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보다는 민간이 스스로 투자와 고용을 창출하려는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며 “투자 애로를 해소하고 2차·3차 대규모 추가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 수정이 이뤄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부가 이미 최저임금과 탄력 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관련 정책을 보완해 국회에 법안이 계류 중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과 유가 상승세도 예의주시 중이라고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전반적인 달러 강세, 원유 동향, 국내 경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환율이 오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부가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특이사항이나 변동사항이 나타나면 적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란발 쇼크로) 유가가 일부 오를 수는 있지만 우려할 만큼은 아닐 것”이라며 “국내 초경질유 수입분 가운데 이란산 원유의 비중이 현재 4분의 1 수준이고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유가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해 대응하겠다”며 “다음 주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대책을 점검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8개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 금지조치 한시 예외 조치를 다음 달 2일부터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