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노베이션 선도해 혁신성장 초석 놓겠다”

“오픈 이노베이션 선도해 혁신성장 초석 놓겠다”

입력 2019-04-22 17:32
업데이트 2019-04-23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뷰 플러스] 엄보영 KHIDI 산업진흥본부장

이낙연(왼쪽 첫번째) 국무총리에게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를 설명하는 엄보영 산업진흥본부장.
이낙연(왼쪽 첫번째) 국무총리에게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를 설명하는 엄보영 산업진흥본부장.
→1회 때부터 올해 14회째까지 바이오코리아 실무책임을 맡아 이끌어왔는데요, 소감 한마디는 무엇인가요.

-바이오코리아가 대한국민을 대표하는 글로벌컨벤션이 될 수 있도록 우리 국민들과 바이오·제약기업, 그리고 정부가 지지해 주었습니다. 그 결과 특히 보건산업혁신창업이 미래 보건산업분야 유망한 초기 벤처를 육성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입니다.

→올해 주제가 ‘오픈 이노베이션을 선도하는 바이오 코리아, 기술도약의 원년을 꿈꾸다’입니다. 어떤 의미인가요.
엄보영 KHIDI 산업진흥본부장
엄보영 KHIDI 산업진흥본부장
-지난해 유한양행의 1조원 대 기술수출이 있었잖습니까. 이 같은 쾌거가 우리 보건산업분야에서 연속되기 위해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이 더 없이 중요하고, 보건산업 생태계를 고려할 때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는 것이죠. 혁신창업센터는 창업기업과 중견기업의 연계를 통해 파트너링을 집중해 오픈 이노베이션의 혁신생태계의 기초를 다져서 정부의 혁신성장정책을 뒷받침하는데 힘일 쏟겠다는 취지입니다. ‘바이오코리아 2019’의 인베스트페어에서 셀트리온·오스템임플란트·바이오리더스 등 14개 상장기업들이 기업설명회에 참가해 기술사업화 시장에 더 가까이 가려는 노력이 주목받는 이유라고 봅니다.

→그렇다면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를 개소한지 1년의 성과와 각오는 무엇인가요.

-보건산업 분야의 창업은 임상시험, 판매허가, 신의료기술평가, 보험 등재 등 시장진입까지 10~15년이라는 장시간이 소요되고 진입장벽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아이디어·기술이 중도 탈락하지 않도록 임상 인프라 등과 연계해 원활한 창업·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 지난해 3월 개소식을 갖고 문을 열었습니다.

그간 유망기술 발굴·맞춤형 컨설팅 지원과 함께 ‘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창업지원사업, 금융지원 등과 연계도 하고, 투자유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투자설명회(IR)를 주기적 개최한 것을 성과라 할 수 있겠습니다. 보건산업은 시장규모,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신성장동력 산업인 만큼 앞으로도 보건산업 분야 창업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서원호 객원기자
2019-04-23 3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