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한국 소비경제 확 바꿨다

미세먼지, 한국 소비경제 확 바꿨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7-01 23:04
업데이트 2018-07-02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환경차·공기청정기 등 검색↑

라이프스타일 ‘그린문화’ 확산
400만명 이상 매일 수치 체크

미세먼지가 한국 소비경제를 크게 변화시켰다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노션 월드와이드는 1일 발표한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 ‘대한민국 소비경제의 큰손, 미세먼지를 잡아라’를 통해 “미세먼지는 대한민국 국민의 의식주 등 라이프스타일을 송두리째 바꿔 놨다”고 밝혔다.

이노션의 빅데이터 분석 전담 조직인 데이터커맨드센터(DCC)가 지난해 1월부터 지난 4월까지 주요 블로그와 카페 등을 통해 생산된 미세먼지 관련 키워드 약 90만개를 분석한 결과다.

‘의’ 부문에서는 마스크(9만 3612건)와 의류관리(3119건) 등 미세먼지를 피하는 제품을 사거나 더 꼼꼼하게 의류를 관리하기 위해 정보를 찾는 키워드가 많이 검색됐다.

‘식’에서는 면역력·디톡스(2만 2841건)와 물(3만 7117건), ‘주’에서는 공기청정기(9만 8374건)와 청소(9만 1209건) 등의 키워드가 많이 나왔다. 친환경차(1만 63건)에 대한 관심과 함께 실내(5만 2025건)·영화(1만 3610건) 등 외부 활동을 자제하려는 현상, 피부(25만 6941건)·클렌징(5만 407건) 등 피부 건강을 위한 노력 등도 살필 수 있었다.

이노션이 인공지능(AI)을 통해 이들 문건을 분석한 결과 걱정과 공포감이 미세먼지 관련 온라인 검색을 증가시킨 원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우리 국민 400만명 이상이 모바일 앱으로 미세먼지 수치를 매일 체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수진 데이터커맨드팀장은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앞으로 환경보호와 친환경 제품 등에 관심을 갖는 ‘그린문화’와 ‘그린소비’로 더욱 확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7-02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