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돋보기] RMS 업체 “스톡론 이용료 없애면 소비자 부담 커질 것”

[돋보기] RMS 업체 “스톡론 이용료 없애면 소비자 부담 커질 것”

입력 2018-06-28 17:00
업데이트 2018-06-28 1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사 등에서 취급하고 있는 ‘스톡론’ 상품의 RMS(위험관리시스템) 이용료 체계 변경을 추진하면서 관련 업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스톡론은 주식이나 예수금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주식 매입자금 대출’로 증권사와 연계된 여신기관에서 취급하기 때문에 ‘연계신용’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스톡론을 이용하려면 대출이자와 함께 첫 거래 시 한 번만 RMS 플랫폼 이용료를 내면 된다. 하지만 금감원은 이 이용료를 폐지하고, 대신 대출이자에 포함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RMS 시스템 개발 업체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규제가 시행되면 스톡론 이용자 입장에서는 당장 이용료 부담이 없어지지만 오래 쓸수록 이자가 늘어나는 구조로 바뀌기 때문에 장기투자자들에게는 오히려 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현재는 최초 1회만 이용료를 부담하면 최장 5년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를 대출이자에 합치게 되면 그만큼 전체 금융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는 설명이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2018-06-29 3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