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택보급률 102.3%…인구 1천명당 383호 소유

작년 주택보급률 102.3%…인구 1천명당 383호 소유

입력 2016-12-29 14:05
업데이트 2016-12-29 1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종(453호) 최고, 경기(346호) 최저

지난해 주택보급률이 102.3%를 기록해 6년 연속 100%를 넘기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국토교통부와 통계청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활용해 분석한 주택보급률과 인구 1천명당 주택수 내용을 29일 발표했다.

지난해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3%로 2014년 보급률인 101.9%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주택보급률은 2010년 100.5%, 2011년 100.9%, 2012년 101.1%, 2013년 101.3%, 2014년 101.9%, 2015년 102.3%로 6년 연속 100%를 넘겨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주택보급률을 지역별로 보면 세종이 123.1%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96%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기준 인구 1천명당 주택수는 383호로 2010년(363.8호) 대비 19.2호 증가했다.

국토부가 5년마다 산정해 발표해온 이 수치는 2000년 248.7호, 2005년 330.4호, 2010년 363.8호, 2015년 383호로 꾸준히 늘었다.

지역별로는 세종이 453.7호로 인구 1천명당 주택수가 가장 많았으며 경기가 346.9호로 가장 적었다. 이번에 발표된 주택보급률은 국토부가 기존에 발표했던 수치를 재산정한 것이다.

주택보급률은 주택수를 가구 수로 나눠 산출한다.

주택수와 가구 수는 기본적으로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통계청은 전통적인 현장조사방식을 활용하다가 2015년부터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을 도입하면서 해당 수치가 변경됐다.

국토부는 이를 반영해 기존 인구주택총조사에 근거했던 2010∼2014년 기존 주택보급률을 다시 산정했다.

국토부는 향후 통계청에서 매년 내놓는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활용해 주택보급률과 인구 1천명당 주택수 확정치를 매년 발표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에 5년마다 생산했던 확정치를 매년 발표함으로써 통계의 정확성과 시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국토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