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족’ 모바일거래 사상최대…코스피도 30% 첫 돌파

‘엄지족’ 모바일거래 사상최대…코스피도 30% 첫 돌파

입력 2016-12-29 09:20
업데이트 2016-12-29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폰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이른바 ‘엄지족’의 모바일 주식거래 급증세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

작년 코스닥에 이어 올해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도 ‘엄지족’의 주식거래 비중이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섰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증시 폐장을 눈앞에 둔 27일 현재까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을 통해 거래된 코스닥 주식은 올해 일평균 2억5천51만주로 지난해(1억8천199만주)보다 37.6%나 늘었다.

이에 따라 코스닥 시장에서 MTS로 거래된 주식 거래량의 비중은 작년 30.1%에서 올해 36.0%로 상승했다.

올해 거래 부진을 겪은 코스피 시장의 일평균 MTS 주식 거래량은 1억1천969만주로, 전체 코스피 거래량 중 31.7%를 차지했다.

모두 사상 최고치다.

모바일 주식거래는 스마트폰 대중화와 맞물려 2009년 이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다.

코스피 시장은 모바일 거래 비중이 2009년(2.4%)까지 2% 전후에서 지지부진하다가 2010년 3.5%, 2011년 8.5%, 2012년 15.0%, 2013년 19.3%, 2014년 21.5%, 2015년 27.3%로 매년 큰 폭으로 높아졌다.

올해들어서 30%선까지 넘어섰다.

개인 투자자 비중이 높은 코스닥 시장에선 모바일 거래가 더 빠르게 늘었다.

2009년까지 2.8%이던 코스닥 시장의 모바일 거래 비중은 2010년 4.1%, 2011년 9.7%, 2012년 16.1%, 2013년 20.3%, 2014년 24.3%를 거쳐 지난해 30.1%로 30%대에 벌써 진입했다.

올해 MTS 거래 증가에는 2월 시작한 비대면 계좌개설 등에 맞춰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가입자를 유치하면서 무료 수수료 이벤트를 벌인 영향이 컸다.

MTS의 급속한 진화로 갈수록 모바일 서비스가 이용하기 쉬워지고 있는 것도 모바일 거래가 급증하는 이유로 꼽힌다.

올해 유안타증권은 인공지능 투자시스템 ‘티레이더2.0’을 탑재한 MTS를 출시했다. 삼성증권은 주식, 퇴직연금 등 자산 형태별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새 MTS ‘뉴 엠팝(New mPOP)’을 내놨다. 또 SK증권은 MTS에 지문인식 로그인 기능을 추가했다.

권용수 삼성증권 스마트영업팀장은 “모바일 생태계의 확산으로 증권사들도 모바일 서비스 경쟁력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며 “MTS를 통한 주식거래 비중은 앞으로도 빠르게 늘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이나 영업점 단말기, 유선단말기(ARS)를 이용한 거래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다.

올해 영업점 단말기를 이용한 코스닥 주식 거래량 비중은 6.5%에 불과했다.

유선단말기 거래 비중은 0.4%, 기타 비중은 2.8%에 각각 그쳤다.

코스닥의 HTS 거래량 비중은 54.3%로 아직 굳건한 1위이지만 2009년 86.0%와 비교하면 위축 속도는 다른 주문 매체보다 오히려 빠른 편이다.

코스피 시장 역시 영업점단말기(13.8%)와 유선단말기(0.4%), 기타(6.0%) 등 전통 주문매체 비중이 빠르게 낮아졌다.

HTS 비중이 48.0%로 역시 제일 크지만 2009년의 73.4%와 비교하면 눈에 띄게 낮아진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