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0월 시험발사…다시 10개월 연기2030년 화성 착륙 등 중장기 200대 기술 개발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에 맞춰 앞당겨졌던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 일정이 2018년 10월로 10개월 연기되며 3년만에 ‘원위치’됐다.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제11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해 이런 내용을 포함한 ‘한국형 발사체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위원회는 한국형발사체의 기본 엔진인 75t 액체엔진의 시험발사 일정을 2017년 12월에서 2018년 10월로 조정키로 했다.
이는 75t 엔진의 연소기와 추진체 탱크를 독자 개발하는 과정에서 연소 불안정과 용접 불량 등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걸린 데 따른 것이라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위원회는 이런 상황에서 2017년 12월 시험발사를 강행하면 발사 실패 가능성과 사고 위험이 크므로 충분한 시험을 통해 기술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해 이런 결정을 내렸다.
이에 앞서 올해 5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한국형 발사체의 시험발사를 2017년 하기 어렵다고 미래창조과학부에 보고했다.
위원회는 2020년 6월로 예정된 3단 로켓의 한국형발사체 완성과 발사 목표 일정의 경우 일단 그대로 추진하되, 시험발사 결과에 따라 필요하면 조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3단 로켓은 75t 엔진 4개를 묶은 300t짜리 클러스터링 엔진을 1단계로, 75t 엔진 1개를 2단계로, 7t 엔진을 3단계로 사용할 예정이다.
배태민 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75t 엔진의 시험발사가 실패하거나 기술적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전체 한국형발사체를 제작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이번 위원회 회의는 이 문제를 다루지 않았으며, 시험발사 결과가 나온 후 필요할 경우 일정 조정이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 일정은 3년만에 ‘원위치’됐다.
정부는 당초 2011년 5월 내놓은 ‘한국형발사체 개발 추진체계 개선 및 사업단장 선정 계획안’에서 75t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를 2018년까지 마치고 2021년에 전체 3단형 한국형발사체를 완성하겠다는 일정을 세웠다.
그러나 2013년 11월 ‘한국형발사체 개발계획 수정안’에서 당초 일정을 1년여 앞당겨 시험발사를 2017년 12월, 3단 로켓의 완성과 발사를 2020년 6월로 잡았다. 당시 정부가 시험발사 일정을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 만료 예정 전인 2017년 12월로 앞당겼던 것이 무리한 일정 조정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국가우주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추진현황’도 심의·확정했다. 2013년 발표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기간 2017∼2040년)에 기반한 것으로, 전문가들과 관계부처의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2월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될 예정이다.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는 2017년 정밀 지상관측위성 1호, 2018년 달탐사 시험 궤도선, 2020년 달탐사 궤도선·착륙선, 2027년 화성탐사 궤도선, 2030년 화성탐사 착륙선 등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한·미 우주협력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도 이날 국가우주위원회 회의에 보고됐다. 양국은 우주협력 협정을 올해 4월 서명해 11월 발효시켰으며, 이달 말에는 달 탐사 협력 이행약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또 내년 6월에는 제3차 한·미 우주협력 회의를 미국 워싱턴에서 열기로 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우주개발진흥법에 따른 우주개발전문기관 우선지정 대상으로 결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