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8% “지진 등 재난 발생 시 스마트폰에 의존”

국민 58% “지진 등 재난 발생 시 스마트폰에 의존”

입력 2016-12-21 15:57
업데이트 2016-12-21 15: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10명 중 6명은 지진 등 재해·재난 발생 시 스마트폰에 의존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지난 6월7일∼8월19일 전국의 만 13세 이상 남녀 7천3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6년 방송 매체 이용행태’ 결과를 21일 공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의 중요도는 더 커졌다.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인식한다는 응답은 55.5%로 TV(38.6%)를 크게 앞질렀다.같은 질문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스마트폰(46.4%)이 TV(44.1%)를 앞선 데 이어 올해는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재해·재난 등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의존하는 매체도 스마트폰(58%)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얻었다. 이어 TV(37.9%), 라디오(1.7%),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노트북(1.5%) 등의 순이었다

매체 이용 빈도를 보면 주 5일 이상 이용하는 비율은 스마트폰이 81%로 가장 높았다. 이어 TV(75.4%), PC·노트북(28%), 신문(6.6%) 등 순으로 자주 이용했다.

방통위는 TV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스마트폰과 PC·노트북은 연령이 낮을수록 이용 빈도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매체 보유 현황과 이용 시간에서 TV의 존재감은 여전했다.

TV를 보유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96%로 여전히 가장 보편적인 매체임을 과시했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지난해 78.8%에서 올해 83.3%로 4%포인트가량 증가했다.

TV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46분으로, 스마트폰(1시간 22분), 라디오(17분)보다 많았다.

최근 일주일 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OTT)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27.1%로 집계됐다. OTT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스마트폰·태블릿PC(97.3%)를 가장 많이 사용했다.

다중채널네트워크서비스(MCN) 서비스에 대한 인지율은 20.1%로, 연령이 낮을수록 인지율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