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CEO 절반 “내년 경영기조는 긴축”…성장률은 2.3%

기업 CEO 절반 “내년 경영기조는 긴축”…성장률은 2.3%

입력 2016-12-18 11:26
업데이트 2016-12-18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재 경기는 장기형 불황…2019년 이후 회복할 것”“차기 대통령으로 ‘사회통합형’ 선호…소통능력 가장 중요”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절반가량이 내년에 ‘긴축경영’에 나설 전망이다.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59개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2017년 최고경영자 경제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9.5%가 내년도 경영계획 기조를 ‘긴축경영’이라고 답했다.

그다음은 ‘현상유지’(30.7%)와 ‘확대경영’(19.8%)으로 집계됐다.

긴축경영 방안으로는 ‘인력부문 경영합리화’(32.7%), ‘전사적 원가 절감’(22.1%), ‘사업부문 구조조정’(17.3%) 등을 선택했다.

인력부문 경영합리화를 선택한 기업들은 구체적인 방법으로 ‘조직 개편’(41.9%), ‘인원 감축’(22.6%), ‘임금 조정’(16.1%)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국내 경기의 회복 시점을 ‘2019년 이후’(47.1%)로 전망했다.

2018년을 꼽은 기업이 40.1%였고, 내년은 12.8%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81.5%가 현 경기 상황을 ‘장기형 불황’으로 평가했다.

내년도 경제성장률은 평균 2.3%로 전망했다.

경총은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전망한 내년도 경제성장률은 2.4∼3.0%대 수준으로 최고경영자들이 경기 상황에 대해 더 보수적으로 평가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내년 경영환경의 주된 어려움으로 ‘정치·사회 불안’(24.6%), ‘민간소비 부진’(21.1%), ‘기업 투자심리 위축’(14.6%), ‘보호무역 강화’(12.9%), ‘중국 경제 둔화’(12.3%)를 꼽았다.

기업들은 미국 대선 결과가 경제에 미칠 영향으로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수출 부진 심화’(64.4%)를 가장 우려했다.

현재 주력사업이 앞으로도 주요 수익원으로 활용 가능한 기간은 ‘5년 미만’(62.8%)으로 보는 기업이 가장 많았다. ‘5년 이상~10년 미만’은 17.0%, ‘10년 이상’은 20.3%로 나타났다.

내년도 투자 계획은 축소가 39.6%, 올해 수준 유지가 33.3%, 확대가 27.1%로 집계됐다.

고용 규모는 올해 수준 유지(46.2%), 축소(35.8%), 확대(18.0%) 순이었다.

내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는 ‘규제 개혁 등을 통한 기업투자 촉진’(43.1%)이 가장 많았고 ‘대규모 사회간접자본 투자 확충’(25.3%), ‘코리아 그랜드 세일 등 소비 진작 대책 마련’(12.8%), ‘최저임금 인상 등 취약계층 소득 향상’(9.4%) 등이 뒤를 이었다.

최고경영자가 가장 선호하는 차기 대통령 유형은 ‘사회통합형’(33.1%), ‘성장지향형’(26.5%), ‘개혁추구형’(21.7%), ‘안정중시형’(1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지난 2012년 조사에서도 18대 대통령으로 사회통합형(37.3%)을 가장 선호했다.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덕목으로는 ‘소통과 화합 능력’(43.4%), ‘도덕성과 청렴성’(28.3%), ‘강력한 리더십’(21.4%), ‘개혁성’(6.9%)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28일까지 경총 회원사와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에 응한 기업 259개 사 중 대기업은 90개 사, 중소기업은 169개 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