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삶의질’ 세계 47위…국가이미지·경쟁력·투명성↓

한국 ‘삶의질’ 세계 47위…국가이미지·경쟁력·투명성↓

입력 2016-11-18 07:37
업데이트 2016-11-18 0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한국의 삶의 질은 세계 47위에 그쳤다. 지난해보다도 7단계 하락한 순위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우리나라의 현황을 통계로 살펴본 ‘2016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18일 발간했다.

한국은 연구개발이나 과학기술 발전 정도에서는 세계 상위권을 기록했지만, 사회·노동·삶의 질과 관련된 지표는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며 대비를 이뤘다.

우선 1∼10점 척도로 구분한 삶의 질 지수는 4.95점으로 전년의 40위보다 7계단 떨어진 47위에 머물렀다.

미국(8.26점·18위)이나 일본(8.11점·20위)은 물론 중국(5.26점·45위)보다도 낮은 순위다. 세계에서 삶의 질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9.83점)였다.

지난해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만7천195달러로, 세계 32위임에도 삶의 질이 거기에 미치는 못하는 데는 저성장과 높은 노동강도, 실업률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이하 2015년 기준)은 2천113시간으로 3위, 실업률은 3.6%로 14위를 기록했다. 반면 경제성장률은 2.6%로 104위에 불과했다.

일자리는 적고 그나마 근로자는 세계 어떤 나라보다 오랜 시간 일하지만, 경제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니 살림살이가 팍팍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여성 1인당 출산율은 1.26명으로 166위에 그쳤다.

국가이미지(이하 2016년 기준·16위·전년 대비 1단계 하락), 국제경쟁력(29위·4단계 하락), 투명성지수(43위·3단계 하락)도 나란히 하락하며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소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과학 강국’답게 기술이나 연구개발 정도에 대한 평가는 좋았다.

글로벌 브랜드 가치(2015년 기준)는 삼성 기준 452억9천700만 달러로 세계 7위에 달했다. 1인당 연구개발 투자액(2014년 기준)은 1천200.4달러로 14위였다.

교역규모(이하 2015년 기준·9천630억 달러)와 무역수지(900억 달러)도 각각 6위, 4위로 상위권이었다.

다만, 지난 한해 이뤄진 반덤핑 조사 건수가 중국(71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17건으로 집계돼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상당한 타격을 입었음을 보여줬다.

국제무역연구원은 매년 170여 개의 경제·무역·사회지표를 기준으로 한국의 세계 순위를 정리한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발간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국제무역연구원 홈페이지(http://iit.kita.net)에서 볼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