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27년만에 3만개 돌파…10월 현재 3만3천개

편의점, 27년만에 3만개 돌파…10월 현재 3만3천개

입력 2016-11-16 07:22
업데이트 2016-11-16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편의점 수가 3만 개를 돌파했다.

1989년 5월 세븐일레븐이 송파구 방이동에 국내 1호점을 선보인 지 27년만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국내 전체 편의점 수는 3만3천여 개에 달했다.

가장 많은 CU(씨유)가 1만634개, GS25가 1만486개, 세븐일레븐이 8천486개였고, 일본계인 미니스톱이 2천326개, 신세계가 운영하는 위드미가 1천615개로 뒤를 이었다.

이들 5개 편의점 체인을 합친 점포 수만 3만3천547개지만 대형 체인점이 아니라 독립적 상호로 운영되는 편의점도 100여 개 안팎인 것으로 추산돼 정확한 점포 수는 파악하기 어렵다고 한국편의점산업협회는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편의점 수는 2만8천994개였다.

편의점은 1인 가구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백화점, 대형마트 등 여타 유통채널의 성장성이 둔화한 가운데서도 ‘나 홀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2013년 1.2%에 불과했던 편의점 시장 성장률은 2014년 4.7%로 상승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1.4%로 껑충 뛰었다.

매출 규모 역시 2013년 12조8천억 원이었으나 2014년에는 13조8천억 원, 2015년 17조2천억 원으로 급성장했다.

올해는 편의점 시장 매출 규모가 2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초창기 음료와 과자 위주로 비교적 단순했던 편의점 상품 구성도 최근에는 다채로운 일회용 도시락과 원두커피, 금융·택배서비스 등으로 진화하며 선택의 폭을 넓혔다.

업계는 1인 가구와 고령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국내 편의점 시장은 2030년까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점포당 매출이 아직 일본의 4분의 1 수준인 것도 성장 여력이 있다는 반증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편의점 수는 현재 5만5천600여 개에 이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