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 5년10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수입물가 5년10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입력 2016-11-14 18:02
업데이트 2016-11-14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가·환율 상승 영향, 수출물가 상승 폭도 7년8개월 만에 최대

유가·환율 상승 영향, 수출물가 상승 폭도 7년8개월 만에 최대

지난달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출물가와 수입물가가 큰 폭으로 동반 상승했다.

최근 전기료 한시 인하 종료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수입물가도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16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10월 수입물가지수(2010년 100 기준)는 77.87로 집계돼 9월 74.64보다 4.3%나 급등했다.

10월 수입물가의 상승 폭은 2010년 12월(4.5%) 이후 5년 10개월 만에 최대다.

지난달 수입물가가 상승한 것은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평균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48.97달러로 9월 43.33달러보다 13.0% 상승했다.

원/달러 평균 환율도 9월 1,107.49원에서 10월 1,125.28원으로 1.6% 올랐다.

품목별로는 원재료가 9월보다 12.2% 상승했고 중간재(2.6%) 중에선 석탄 및 석유제품이 12.7%나 급등했다.

자본재는 전월보다 1.0%, 소비재는 0.9% 올랐다.

다만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한 10월 수입물가는 0.6% 떨어졌다.

원화가 아닌 계약통화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3.1% 올랐다.

10월 수출물가지수는 80.53으로 9월(78.05)보다 3.2%나 급등했다.

수출물가 상승은 원/달러 환율 상승에다 전기 및 전자기기 가격이 오른 영향이 컸다.

농림수산품은 전월보다 1.0%, 공산품은 3.2% 올랐는데 특히 석탄 및 석유제품이 11.2%, 전기 및 전자기기가 4.6%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10월 수출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는 1.6% 떨어졌다.

계약통화기준으로는 전월보다 1.8%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