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동에 불어닥친 고용 한파...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입동에 불어닥친 고용 한파...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11-07 11:21
업데이트 2016-11-07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업종 실업대란의 여파로 취업자 증가 폭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6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만 2000명(2.4%)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2010년 9월(27만 2000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취업자 증가율은 숙박·음식업(12.0%)과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5.7%),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4%) 등 서비스업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공공행정·국방은 -1.8%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모든 업종 중 임금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은 증가율이 0.1%로 매우 낮았다.

특히 전체 업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증가율이 0.2%에 그쳐 고용시장에 타격을 입혔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7700명)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고용 악화는 최근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는 조선업에서 심각했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늘었으나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특히 6월 1만 2000명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 2000명, 9월 2만 4000명, 10월 2만 5000명으로 3분기 이후 크게 늘어 ‘실업대란’이 현실화하고 있다.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해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 5000명 줄었다. 국내 전자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생산기지를 동남아 등 해외로 이전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921만 6000명으로 25만 4000명(2.8%) 증가했다. 반면 구조조정이 한창인 300인 이상 대기업은 343만 4000명으로 3만 8000명(1.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