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롯데 상장 불발에 공모주시장 썰렁

호텔롯데 상장 불발에 공모주시장 썰렁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9-23 22:42
업데이트 2016-09-23 2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형 기업공개 호재 없고 수익률 저조…7월 이후 상장종목 공모가 상회 6곳뿐

이달 들어 펀드서 818억 순유출 전환
상장 앞둔 두산밥캣·삼성바이오 주목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훈훈했던 공모주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공모주 시장 최대어로 꼽혔던 호텔롯데의 무기한 상장 연기가 열기에 찬물을 끼얹은 가운데 대어급 공모주들이 다시 불씨를 지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23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22일까지 국내 공모주 펀드 93개에서 818억원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공모주 펀드에는 지난 2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1조 300억원이 몰리며 지난해(2조 4500여억원 순유입)의 인기를 이어가는 듯했다. 그러나 6월 이후 순유입금이 크게 줄더니 이달엔 자금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공모주 펀드의 인기가 급속히 식은 것은 펀드 수익률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연초 이후 공모주 펀드 평균수익률은 0.90%로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4.73%)에 크게 못 미쳤다.

지난 22일 코스피시장에 신규 상장된 LS전선아시아는 상장 첫날 11.81% 내린 6350원에 거래를 마치며 공모가(8000원)의 80% 수준에 머물렀다. 같은 날 상장된 모두투어리츠도 12.83% 급락해 공모가(6000원)보다 낮은 5230원에 마감됐다. 이렇게 상장 후 주가가 공모가를 밑도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한때 ‘공모주 대박’을 노리고 몰렸던 투자자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다.

지난 7월 이후 코스피·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된 16개 종목 중 상장 첫날 공모가를 웃돈 종목은 절반인 8개에 그쳤다. 여기에 상장 이후 주가 변동을 감안하면 현재 공모가보다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종목은 고작 6개뿐이다.

공모주 시장이 전반적인 부진을 겪고 있는 원인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만한 대형 기업공개(IPO)가 뜸했다는 점이 지적된다. 당초 올해 IPO 금액의 절반가량을 홀로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던 호텔롯데는 상장을 코앞에 둔 지난 6월 검찰의 롯데그룹 비자금 수사로 IPO가 무산됐다.

오온수 현대증권 글로벌자산전략팀장은 “호텔롯데 상장이 예정대로 진행됐다면 공모주 시장의 분위기가 지금과 많이 달랐을 것”이라며 “두산밥캣,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의 공모가 진행되면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모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음달 상장 예정인 두산밥캣의 희망 공모 규모는 2조~2조 4000억원으로 2010년 상장한 삼성생명(4조 8000억원)에 이은 역대 두 번째가 될 전망이다.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오는 11월, 넷마블이 이르면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9-24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