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IT기업의 대약진… ‘텐센트’ 몸값 아시아 1위

中 IT기업의 대약진… ‘텐센트’ 몸값 아시아 1위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9-06 23:14
업데이트 2016-09-06 2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바일 게임 매출 114% 오르며 시총 283兆… 세계 10대기업에

굴뚝산업 하향세 인력감축 위기
사기업 중심 소비주도형 경제로


중국의 대표 인터넷기업 텐센트(텅쉰·騰迅)가 중국은 물론 아시아에서 ‘몸값’이 가장 비싼 기업이 됐다. 세계 순위로는 10위에 올랐다. 텐센트의 아시아 1위 등극은 중국이 굴뚝 산업 중심의 ‘세계 공장’에서 정보기술(IT) 주도의 첨단 소비시장으로 변모했음을 보여준다.

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전날 홍콩 증시에서 텐센트의 주가는 4.2% 오른 210.20홍콩달러에 마감해 시가총액이 1조 9900억 홍콩달러(미화 2566억 달러·약 283조원)로 불어났다.

텐센트의 시가총액은 그간 중국과 아시아 기업 가운데 1위였던 차이나모바일(中國移動)의 1조 9700억 홍콩달러(미화 2540억 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이로써 아시아 기업의 시가총액 순위는 텐센트, 차이나모바일, 알리바바(미화 약 2500억 달러), 삼성전자(미화 2290억 달러) 순이 됐다.

텐센트는 애플과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포함된 글로벌 10대 기업(시가총액 기준) 대열에도 합류했다. 2004년 증시에 상장될 당시 62억 홍콩달러이던 텐센트의 시가총액은 현재까지 약 300배 이상 뛰었다.

텐센트 주가 상승은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입은 측면이 강하다. 텐센트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2.3% 증가한 356억 9000만 위안(약 5조 9000억원)을 기록했다. 전 사업이 고른 성장을 보였지만 특히 모바일 게임 매출은 114%라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모바일 메신저 ‘위챗’ 사용자는 34% 증가하며 8억명을 넘어섰다.

블룸버그는 사기업인 텐센트가 국유기업인 차이나모바일을 누르고 시가총액 1위를 차지한 것은 중국 경제의 중심축이 국유기업에서 사기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확실한 증거라고 규정했다. 인터넷 콘텐츠 산업이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기간망 산업을 앞지른 것이다. 블룸버그는 “텐센트와 알리바바 등 인터넷 기업이 승승장구하는 동안 ‘굴뚝산업’은 인력감축을 고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허약해진 국유기업을 좀 더 강화할지, 아니면 민영화할지를 놓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기업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기업은 대부분 차이나모바일, 중국공상은행(ICBC), 페트로차이나 등 국유기업이었다. 알리바바가 2014년 뉴욕증시 상장 직후 잠시 1위 자리를 빼앗아오긴 했으나 오래가진 못했다. 텐센트의 ‘왕좌 탈환’이 의미 있는 사건이다.

블룸버그는 “국유기업은 수십 년간 국유은행에서 쉽게 대출을 받아 몸집을 불리며 사기업의 발전을 저해했지만, 이제는 사기업이 고용과 혁신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면서 “사기업은 중국의 경제구조를 소비주도형 경제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9-0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