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호금융대출 잡아라…25일 가계부채 대응방안 주목

집단·상호금융대출 잡아라…25일 가계부채 대응방안 주목

입력 2016-08-20 09:19
업데이트 2016-08-20 09: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 주(8월22∼26일)에 발표될 경제 지표와 정책 중에서는 정부의 가계부채 평가와 대응 방안이 주목된다.

2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한국은행이 2분기 가계신용을 발표하는 25일 가계부채에 대한 평가와 대응방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소득 증빙 강화, 비거치식 분할 상환 유도 등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시행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최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정부 대책의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면서 가계부채가 가볍게 볼 문제가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가계부채 문제가 다시 부각됐다.

정부는 이에 따라 가계대출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현재 가계수준에 대한 평가와 대응 방안을 다시 제시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가계부채에 대한 정부의 인식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만큼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주원인으로 꼽힌 집단대출과 상호금융 관련 대책이 대응방안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 금융권의 현황 변화를 반영한 세부 감독 방향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정부의 가계부채 대응방안이 나올 25일 ‘2분기 가계신용’을 공개한다.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여온 가계 빚이 또 얼마나 늘었을지가 관심이다.

가계 빚은 1천200조원을 넘어선 이후에도 급증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등 금융회사에서 받은 대출뿐만 아니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친 금액이다.

가계신용 잔액은 작년 말 1천200조원 선을 돌파했고 1분기엔 1천223조7천억원으로 20조6천억원이 늘어나는 등 사상 최대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가계신용의 급증세는 저금리가 장기화한 데다 전셋값 급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한은은 23일 ‘7월 무역지수와 교역조건’을, 24일엔 ‘1분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를 각각 발표한다.

26일엔 소비심리를 알 수 있는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와 ‘7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잇따라 발표한다.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 대책 등을 담은 11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의 22일 국회 통과와 조선·해운업 부실의 책임을 규명할 청문회(서별관회의 청문회)의 23∼25일 개최는 청문회 증인 채택 문제에 따른 여야 이견으로 예정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