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실질소득 7년 만에 스톱… 돈지갑 여는 것은 더 줄었다

가계실질소득 7년 만에 스톱… 돈지갑 여는 것은 더 줄었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8-19 18:10
업데이트 2016-08-20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저금리에 재산소득 9.8% 감소

근로·이전소득 1.9%·3.8%씩 늘어
평균 소비성향은 70.9%로 사상 최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2분기 이후 7년 만에 가계 소득 증가가 멈췄다. 벌이가 신통치 않은 가계가 지갑마저 닫아 소비성향도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명목소득은 430만 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0.0%로 제자리걸음이었다.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는 얘기가 과장된 것이 아닌 셈이다.

가계 소득 중 재산 소득이 9.8%나 감소한 영향이 컸다. 저금리 여파로 이자 소득이 줄었기 때문이다. 사업 소득은 0.2%, 근로 소득은 1.9% 증가하는데 그쳤고, 생산 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 등이 무상으로 주는 소득인 이전소득은 3.8% 늘었다. 그런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9만 6000원으로 6.0% 감소한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는 821만 3000원으로 1.7% 증가했다. 이에 따라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소득불평등 지표인 5분위 배율은 4.51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4.19)보다 상승했다.

가계 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장분담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은 351만 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 늘었다. 하지만 소비 지출은 249만 4000원으로 1년 전과 같았다. 이 때문에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포인트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었을 때 70만 9000원을 썼다는 뜻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았다.

대신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하지 않고 쌓아 두는 돈, 즉 흑자액은 102만 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6% 늘었다. 이는 가계가 교육비(-0.7%)와 식료품비(-4.2%)까지 줄여가며 미래를 대비해 돈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 주류·담배 지출은 3만 5000원으로 7.1% 늘었다. 담뱃값 인상으로 소비량이 일시적으로 줄었다가 다시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8-20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