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우려?…모바일 상품권 거절 기능 추가

김영란법 우려?…모바일 상품권 거절 기능 추가

입력 2016-08-19 09:28
업데이트 2016-08-19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부·업계 협의…수신 거부 기능 연내 도입 전망

휴대전화로 들어오는 모바일 상품권을 ‘안 받겠다’며 발송자에게 되돌려주는 기능이 이르면 올해 안에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SK텔레콤·KT·카카오 등 모바일 상품권 관련 업체들과 수신 거절 기능을 넣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정상 받을 수 없게 된 상품권을 못 돌려줘 불편하다는 소비자 의견이 적잖았고, 올해 6월 말 국민권익위원회도 모바일 상품권의 수신 거부 기능을 추가하라고 권고해 논의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관련 업계에서는 상품권 수신 거부 기능을 올해 내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ICT(정보통신기술) 업계 일각에서는 9월 말 시행되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에 대한 법률’(김영란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로 주고받는 모바일 상품권도 명백한 ‘금품’인데, 현재는 해당 상품권이 발송되면 물릴 방법이 없어 김영란법 시행 이후 불법 금품 수수를 둘러싼 논란이 일 수 있다는 얘기다.

모바일 상품권은 사람을 직접 만날 필요 없이 휴대전화 버튼만 누르면 전달된다는 장점 때문에 생일 선물이나 이벤트 경품 등에 널리 쓰인다.

그러나 백화점 상품권이나 사치 브랜드 핸드백 등 고액의 금품도 보낼 수 있어 공직자 뇌물 전달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잖았다.

모바일 상품권은 앞서 ‘수신 후 유효기간(사용기한)이 너무 짧다’는 불만이 제기돼 올해 1월 공정거래위원회가 각 업체 약관을 시정한 적은 있었지만, 수신 거부에 관한 당국·업계 논의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