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별·나라별 골라쓰는 로밍정액권 뜬다

기간별·나라별 골라쓰는 로밍정액권 뜬다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8-01 22:28
업데이트 2016-08-01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밍상품, 더 싸게 더 다양하게

SK ‘日특화’ 7일에 3만 8500원
KT, 5일 무제한에 4만 4000원
LG, 日 음성+데이터 2만 2000원


SK텔레콤 사용자로 해외 출장이 잦은 프리랜서 유모(36·여)씨는 스마트폰 덕에 편리해진 일상 중 하나로 해외 로밍을 꼽는다. 3년 전 하루에 9900원인 ‘T로밍 데이터 원패스’에 가입한 뒤부터 공항 로밍센터를 들르지 않아도 해외에 닿는 즉시 자동으로 데이터 로밍이 가동된다. 2G 시절엔 출국할 때마다 로밍센터를 찾거나 현지 렌털폰을 써야 했다.

그러나 유씨처럼 몇 년 전 가입한 데이터 로밍 요금제를 그대로 유지하면 의도치 않게 ‘과다 요금’을 낼 수도 있다. 최근 몇 년 새 데이터 사용 습관, 방문 국가에 맞춘 저렴한 요금제가 잇따라 나오고 있어서다. 만약 지난달 일본 출장을 다녀온 유씨가 출국 전 로밍센터를 찾아 1주일 동안 1GB 이내 데이터 사용 시 4만 2900원인 ‘T로밍 롱패스7’에 가입했다면 요금을 38% 아낄 수 있었다. 지난달 나온 신규 요금제다. 일본에 한해 1주일 동안 3만 8500원만 받는 ‘일본 3G 데이터7’을 썼다면 요금을 44% 절약할 수 있었다.

SK텔레콤의 경쟁사인 KT와 LG유플러스도 다양한 로밍 요금제를 내놓고 있다. KT가 1일 선보인 ‘데이터 로밍 하루 종일 5일권’에 가입해 닷새 동안 데이터 로밍을 무제한 쓸 때 요금은 4만 4000원이다. 1일 정액권을 같은 기간 동안 쓸 때보다 20% 싸다. 지난달 나온 LG유플러스의 ‘LTE 데이터 로밍 3일’ 요금도 4만 9500원으로 1일 정액권 요금보다 12% 싸게 책정됐다.

일본, 중국, 홍콩처럼 한국인 선호 여행지를 겨냥한 특화 요금 경쟁도 치열하다. LG유플러스는 일본과 홍콩 2개국용으로 ‘스마트 로밍 LTE 패키지’ 요금제를 선보였다. 하루 2만 2000원에 데이터뿐 아니라 음성 통화 로밍까지 쓸 수 있다. 조원석 LG유플러스 디바이스 담당 상무는 “우리나라 여행자 중 30% 이상이 일본과 홍콩을 간다”며 “혜택을 받는 고객이 많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해 출시된 SK텔레콤의 ‘내집처럼 T로밍 중국’ 역시 음성 통화비를 분당 100원에 제공, 중국 여행객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본격 휴가철을 맞아 여행 관련 기업과 제휴한 요금제도 주목받고 있다. KT가 이날 선보인 ‘대한항공 데이터 로밍 하루 종일 LTE’가 이 경우다. 이 요금제를 쓰는 대한항공 국제선 탑승객은 데이터 로밍 이용 요금만 지불하고, 음성 로밍 무료 3분을 부여받는다. LG유플러스는 해외에서 KB카드를 쓴 고객에게 로밍 요금 중 최대 3만 3000원까지 돌려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8-0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