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일주일 평균 3.6회 야근…3.7시간 초과근무”

“직장인 일주일 평균 3.6회 야근…3.7시간 초과근무”

입력 2016-07-22 12:19
업데이트 2016-07-22 1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업포털 사람인 조사…33% “잦은 야근으로 직장 옮긴 적 있다”

직장인들은 일주일에 평균 3.6번 야근을 하며 한 달에 평균 53시간 초과근무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직장인 1천6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응답자의 81.2%는 평소 야근을 한다고 답했으며 그 횟수는 평균 3.6회, 초과근무 시간은 하루 평균 3.7시간이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5번(28.3%), 3번(19.4%), 4번(16.2%), 2번(15%), 1번(12.5%) 순이었다.

직급별로는 과장급(86.5%)이 가장 야근을 많이 했고 임원급(50%)이 가장 적었다.

대리급은 86.2%, 사원급은 78.3%, 부장급은 76.8%의 응답률을 보였다.

야근을 하는 이유로는 ‘업무량이 많아서’(54.1%·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업무 특성상 어쩔 수 없어서’(38.8%), ‘야근을 강요하는 분위기여서’(34.5%), ‘업무 분장이 제대로 안 돼서’(22.2%), ‘상사가 퇴근해야 퇴근할 수 있어서’(21.3%), ‘퇴근 시간 임박한 업무 요청이 많아서’(21.1%) 등이 뒤를 이었다.

보상과 관련, 절반 이상인 56.7%(복수응답)가 ‘보상이 없다’고 답했다.

야근식대를 지원받는다는 경우는 27.1%, 야근수당은 19.8%, 야근 교통비는 7.6%였다.

또 응답자의 32.8%는 ‘잦은 야근으로 직장을 옮긴 적이 있다’고 했다.

야근 후 퇴근길에 보람이나 성취감을 느끼는 빈도에 대한 질문에는 ‘전혀 느끼지 않는다’(52.7%), ‘거의 느끼지 않는다’(41.3%), ‘자주 느낀다’(5.2%), ‘항상 느낀다’(0.9%) 순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