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이달 7조 6000억 새만금 투자 공식 철회할 듯

삼성 이달 7조 6000억 새만금 투자 공식 철회할 듯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12 22:46
업데이트 2016-07-13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규 대형 사업땐 우선 재투자” 삼성 사장급·도지사 면담 추진

전문가 “외국계 역차별 화 불러”

삼성이 이르면 이달 안에 7조 6000억원 규모의 새만금산업단지 투자계획을 공식 철회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이 투자 철회 대신 또 다른 대안을 내놓을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조만간 전북 도지사와 삼성 사장급 인사의 면담이 이뤄질 전망이다.

삼성이 아예 새만금에서 발을 뺀다면 ‘단군 이래 최대 국책사업’으로 불리는 새만금 개발 사업에도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외국계 기업과의 역차별, 인센티브 부족, 인프라 미비가 국내 기업의 투자를 주저하게 한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이형규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12일 “조만간 송하진 전북지사와 삼성 사장급 인사의 면담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월 삼성 미래전략실의 상무급 2명이 이 부지사를 찾아와 세계 경기 침체 등의 이유로 “투자가 어렵다”는 뜻을 밝혔지만, 전북도는 “구두가 아닌 문서로 공식 입장을 밝히라”며 삼성 측에 책임감 있는 자세를 요구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명의로 그룹 입장을 내기 전에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삼성은 2011년 전북도와 새만금 산업단지 투자 및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2021년부터 7조 6000억원을 들여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이후 삼성이 풍력 발전기, 태양전지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새만금에 투자해야 할 이유가 사라졌다. 삼성은 “현재로서는 앞으로 조성되는 새만금 2단계 단지에 투자할 사업이 마땅치 않다”면서 “장기적으로 신규 대형 투자 사업 계획이 있다면 새만금 2단계 조성 부지에 투자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최재용 전북도 새만금추진지원단장은 “삼성이 확실하게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면서 “부지 매립부터 도로, 전기, 가스 등 기반 시설 구축에 최소 5년이 걸리는 만큼 지금이 사실상 마지노선”이라고 말했다.

삼성보다 1년 앞서 2조 2000억원을 새만금에 투자하기로 한 태양광 업체 OCI는 지난 5월 폴리실리콘 공장 설립 계획을 백지화하긴 했지만 2013년부터 부지는 꾸준히 매입하고 있다. 2023년까지 57만 1000㎡ 규모의 부지(약 860억원 규모)를 전부 사들이기로 하고 현재 335억원을 지급했다. 그러나 삼성은 OCI처럼 부지만 따로 매입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삼성이 투자하는 1150만㎡ 규모의 땅은 아직 물속에 잠겨 있어서다.

일부에서는 외국계 기업과의 역차별이 화를 불러왔다고 지적한다. 지난 6일 새만금 공장 준공식을 한 도레이첨단소재는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최대 100년간 부지를 무상으로 빌렸다. 재산세 등 지방세는 15년 동안 최대 100%를 감면받을 수 있다. 또 시설투자 보조금 명목으로 투자금액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돌려받는다. 새만금개발청은 “부지 임대 등에서 국내 기업도 외국계 기업과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새만금특별법 개정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성걸 국민대 행정정책학부 교수는 “국내 기업을 유치하려면 부지를 싸게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면서 “대학과 연계한 연구개발특구를 조성하는 등 실질적인 유인책을 마련해야 기업들이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1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