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나의 케이팝 네트워크·모지스의 한식 배달앱… 제 점수는요

해나의 케이팝 네트워크·모지스의 한식 배달앱… 제 점수는요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07-12 22:46
업데이트 2016-07-13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첫 글로벌 창업 오디션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예선 현장을 가다

한국말로 인사하고 열정 보여
세계 124개국 2439개팀 참가
20팀 국내 대기업과 협업 기회


이미지 확대
미국인 해나 웨이트가 12일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예선에서 자기가 창업한 ‘문록’을 심사위원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미국인 해나 웨이트가 12일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예선에서 자기가 창업한 ‘문록’을 심사위원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12일 오전 11시 경기 성남시 판교동에 자리한 ‘스타트업 캠퍼스’ 사무실. 국내 최초로 열리는 글로벌 창업 오디션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예선이 한창이다. 미국인 해나 웨이트(25·여)가 다소 긴장한 표정으로 8명의 심사위원 앞에 섰다. 그는 케이팝을 전문으로 다루는 스타트업(창업초기 벤처기업) ‘문록’(moonROK)의 대표다.

한국말로 “안녕하세요. 해나입니다”라고 인사를 하고 회사 소개를 시작했다. “미국에서 케이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소식을 찾는 팬들이 늘고 있지만, 한국어를 모르면 아이돌 그룹의 최신 소식을 아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회사를 차렸습니다.”

문록은 한국 가수의 음반, 달력 등 물건 판매와 콘서트 동영상 상영, 빅데이터를 활용한 케이팝 노래 홍보 등이 주된 사업 영역이다. 심사위원들은 “왜 한국에서 사업을 하려고 하는가”, “팀원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비슷한 경쟁 업체는 없는가” 등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다.

뒤이어 나온 미카엘 모지스(30)는 ‘마이 코리아 딜리버리’라는 스마트폰 앱을 소개했다. 외국인들도 쉽게 배달 음식을 시켜 먹고 포장해 갈 수 있도록 돕는 앱이다. 외국인이 영어로 주문하면 식당에는 한글로 접수된다. 그는 한국의 유명 배달 앱인 ‘배달의 민족’과의 차이를 부각시켰다. 심사위원인 임정민 구글 캠퍼스 서울 총괄은 모지스에게 “왜 한국에서 사업을 하고 싶은가”를 물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주관하는 K스타트업 챌린지는 사업성과 기술력 등을 심사해 유망한 벤처기업 20개를 선발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여기에 선정되면 국내 법인 설립을 조건으로 6개월에 걸쳐 4000만원을 지원받으며 국내 대기업과 공동 비즈니스를 할 기회를 얻는다. 미래부는 우수한 해외 인재를 끌어들이고 국내 기업과의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원 자격을 ‘대표가 외국인이거나 구성원 중 한국 유학생이 포함된 곳’ 등으로 한정했고 지난달 말까지 최종적으로 전 세계 124개국에서 2439개팀이 참가 신청을 했다.

이날 오디션은 서류 심사를 거쳐 선발된 295개팀을 대상으로 공개 오디션과 화상 채팅을 통한 원격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리나라 외에 영국 런던, 벨기에 브뤼셀, 미국 실리콘밸리, 싱가포르, 태국 방콕, 베트남 호찌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등에서도 지난 달부터 현장 오디션이 차례로 열리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우리 경제의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참신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젊은 세대들의 창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이번 오디션은 우리나라의 인재는 물론이고 글로벌 인재들의 아이디어와 기술까지 국내로 흡수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글 사진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7-13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