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대 슈퍼리치 비결… 10명 중 4명 “부모님 덕”

100억대 슈퍼리치 비결… 10명 중 4명 “부모님 덕”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7-06 22:46
업데이트 2016-07-07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금융硏 한국 부자 보고서

5년새 증여·상속 재산축적 2배로
자수성가형은 갈수록 줄어들어
부동산 51%… 금융자산 앞질러

우리나라에서 100억원이 넘는 슈퍼리치 10명 중 4명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이 ‘부(富)의 원천’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여·상속으로 재산을 모았다는 답변은 5년 새 2배 가까이 높아져 갈수록 자수성가가 힘든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KB금융경영연구소는 금융자산이 10억원 넘는 400명을 설문조사해 ‘2016년 한국 부자 보고서’를 6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총자산 30억원 미만 부자의 경우 ‘사업체 운영’(34%)이 재산 형성의 가장 주된 요인인 반면 100억원 이상 부자는 증여·상속 비중(40%)이 가장 높았다. 사업과 투자 등으로 ‘작은 부자’는 될 수 있어도 ‘큰 부자’가 되기는 쉽지 않은 것이다.

부자로 가는 길목에서 증여·상속의 사다리 역할은 지난 5년 동안 훨씬 중요해졌다. 주된 자산 축적 방법으로 부모로부터의 증여·상속을 꼽은 비율은 2011년 13.7%에서 올해 26.3%로 가장 크게 늘었다. 사업체 운영이라는 응답은 같은 기간 28.4%에서 38.8%로 증가했다. 반면 부동산 투자로 재산을 모았다는 응답은 45.8%에서 21.0%로 급감했다. 월급을 모아 부자가 됐다는 응답은 7.5%에 그쳤다.

젊은 세대의 자수성가가 힘들어졌다는 것은 부모 세대의 인식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자녀들이 나만큼 잘살기는 어렵다’는 질문에 응답자의 58.3%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보통이다’와 ‘아니다’는 각각 30%. 11.8%였다. ‘자녀 세대는 자수성가하기 힘들다’는 질문에는 73%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들의 자산 구성을 보면 부동산자산(주택·건물·상가·토지 등)이 51.4%로 금융자산(43.6%)보다 높았다. 예술품과 회원권 등 기타자산은 5%였다. 국내 가계의 평균 금융자산 비중 26.5%와 비교해 금융자산 비중이 훨씬 높았다. 서정주 KB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부자들의 금융자산 비중은 2012년(35.6%) 이후 지속되고 있다”며 “과거에 비해 낮아진 부동산 투자수익률, 보험·연금 등 장기 금융자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는 지난해 기준 21만 1000명으로 전년(18만 2000명) 대비 15.9% 늘었다. 우리 국민의 0.41%에 불과한 이들은 가계 전체 금융자산의 15.3%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7-07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