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렙·지지… 표제어 2188개 ‘게임 사전’ 출간

만렙·지지… 표제어 2188개 ‘게임 사전’ 출간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6-28 18:18
업데이트 2016-06-29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 지지(GG) 치기에는 너무 이르지 않아?” “만렙 찍으신 분들이 하드 캐리 하시네요.” ‘지지’는 ‘굿 게임’(Good Game)의 약자로 게임 플레이어들끼리 주고받는 인사말에서 유래해 ‘게임을 포기하다’(Give up Game)라는 항복 선언으로 확장됐다. ‘만렙’은 플레이어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능력치를, ‘하드 캐리’는 능력치가 높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아군의 승리로 이끌어 가는 행위를 뜻한다.

이미지 확대
이들 게임 용어는 10~30대들의 일상까지 파고들었다. “놀러 가려다 너무 더워 지지 쳤다”, “이번 프로젝트는 박 팀장이 하드 캐리했다”는 식이다. 이 같은 게임 용어들을 선별하고 가다듬어 사전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빛을 보게 됐다. 엔씨소프트문화재단과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는 28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제작 발표회를 열고 ‘게임사전: 게임에 대해 알고 싶었던 모든 것’을 출간했다.

게임사전 편찬은 문화와 사회, 산업의 관점에서 게임을 들여다보고 학술적 가치를 발굴하는 작업으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됐다. 게임 종주국인 미국에서도 게임 개발자 사전 정도가 발간된 상황이다. 윤송이 엔씨소프트문화재단 이사장은 “게임은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 수출액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등 새로운 정보통신기술(ICT)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게임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무관심을 극복하고 사회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했다”고 말했다.

이화여대 융합콘텐츠학과 이인화 교수와 한혜원 교수를 비롯해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연구진 62명이 집필하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이 감수를 맡아 1년 6개월간 작업했다. 게임사전에는 게임의 개발과 플레이, 게임 문화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추려 낸 표제어 2188개가 담겨 있다. 지난 5년간 게임 플레이어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아이템’으로, 사전에는 이를 8페이지에 걸쳐 다뤘다. ‘스트리트 파이터’ ‘리니지’ ‘스타크래프트’ 등 시대별 대표 게임도 선정해 수록했다. 이인화 교수는 “게임에서 쓰이는 언어를 공식적인 언어로 만들어 지식의 자격을 부여하는 작업”이라고 밝혔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6-2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