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일 PB의 생활 속 재테크] 10년 유지 땐 비과세… 장기 목돈 마련엔 변액ELS 어때요

[신동일 PB의 생활 속 재테크] 10년 유지 땐 비과세… 장기 목돈 마련엔 변액ELS 어때요

입력 2016-06-14 22:50
업데이트 2016-06-15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인 1.25%까지 떨어지면서 재테크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졌다. 시장 불확실성에 끝까지 정기예금이나 채권 등 안전 자산을 선호하던 투자자들 입장에선 ‘0%대’ 금리에 울상을 짓게 됐다.

거액의 자산을 굴리는 부유층이 아닌 이상 개미 투자자들은 월급을 조금씩 떼 종잣돈을 모으는 게 현실이다. 기준금리가 0.25% 포인트 내려갔다고 해서 종잣돈 모으기용으로 대체 투자 상품을 찾기도 쉽지 않다.

그래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 일정 부분 위험을 감내하고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눈을 돌려 보자. 대표적인 상품이 주가연계증권(ELS) 변액보험이다. 금융소득에 대해 세금(15.4%)을 떼 가는 ELS와 달리 ELS 변액보험은 비과세 혜택이 강점이다. 2년 동안 매월 보험금을 납입하고 10년 동안 보험 상품을 유지하면 1인당 2억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매월 100만원씩 적립식 ELS 변액보험에 가입했다고 치자. 10년 만기가 지난 후 원금은 2400만원이다. 이 상품은 매월 100만원짜리 ELS를 2년 동안 24번 구입하는 효과가 있다. ELS에 분산 투자하는 셈이다. ELS 투자 수익률을 평균 5%대로 가정하면 10년 뒤 만기 환급률은 135%로 예상된다.

월 지급식 ELS(기초 자산의 주가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매월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와 ELS 변액보험의 가장 큰 차이 역시 비과세 혜택이다. 월 지급식 ELS는 매월 수익이 지급될 때마다 과세가 되고, 만기 전에 손실이 발생해도 이미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 없다. 반면 ELS 변액보험은 매월 발생한 수익에 대해 비과세가 적용되고, 가입 후 10년 이상 유지 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10년 만기 이전에 상품을 해지할 경우 매월 발생한 수익에 적용됐던 비과세만큼 세금을 토해내야 한다.

ELS 변액보험은 10년이라는 긴 만기 탓에 주로 중장기 목돈 마련 용도로 추천하고 있다. 10년 뒤 자녀 학자금이나 주택 구입 자금, 자녀 결혼 자금 등의 용도로 ELS 변액보험을 이용하는 개미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 예·적금 상품 대비 ELS의 높은 수익률과 보험의 안정성을 함께 누릴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주의할 점도 있다. ELS 상품은 가입 때 기초 자산(코스피200 또는 홍콩H지수 등)이 정해지기 때문에 중도 해약이나 만기 시점에 지수 급락에 따른 원금 손실 위험이 있다. 아울러 보험으로 운용하므로 계약비, 유지비, 수금비 등의 수수료 비용 지출이 발생한다.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부센터장
2016-06-15 2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