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롯데, 한 달 만에 두 배 가격 써내 KT렌탈 인수

[단독] 롯데, 한 달 만에 두 배 가격 써내 KT렌탈 인수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6-06-14 18:10
업데이트 2016-06-15 1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리한 인수’ 왜

 롯데그룹이 지난해 6월 렌터카 업체 ‘KT렌탈’(현 롯데렌탈)을 인수하면서 시장평가보다 두 배가량 높은 인수가격을 써낸 것으로 드러나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지난해 1월 KT그룹이 KT렌탈의 매각을 위해 실시했던 1차 본입찰에서 6000억원대의 인수가액을 써냈다. 이어 한 달 뒤인 2차 본입찰에서 롯데그룹은 당초 제출한 가격의 두 배 수준인 1조원이 넘는 가격을 써내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다. 롯데그룹은 같은 해 3월 1조 200억원에 KT렌탈 최종 인수계약을 체결하고 이어 6월 ‘롯데렌탈’로 사명을 바꾸면서 그룹에 편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업계에서는 롯데가 KT렌탈을 인수한 데 대해 그룹의 경영권을 의식한 신동빈 회장이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무리하게 KT렌탈을 인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KT렌탈에서 롯데렌탈로 변신한 뒤 그룹 내 매출은 쪼그라든 반면 매입은 커졌다는 점에서 비자금 조성 역할을 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롯데렌탈은 롯데 계열사들을 상대로 21억원의 매출이 발생한 데 비해 매입은 8배에 가까운 167억원을 기록했다. 매입 비용은 주로 롯데손해보험(50억원)과 현대로지스틱스(31억) 등에서 발생했고, 롯데카드 등 다른 계열사에도 65억원이 들어갔다. 전년 동기 KT그룹에 소속됐던 당시에는 이 회사가 그룹사로 판 매출(249억원)이 그룹사들이 팔아준 매입액(58억원)보다 4배 이상 높았다. KT그룹에서 롯데그룹으로 편입된 뒤 롯데렌탈의 현금이 롯데그룹 계열사로 흘러 들어갔다는 얘기다. 계열사 간 거래는 대부분 수의계약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거래 과정이 불투명하고 비자금 등 장부 외 자금으로 변신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롯데렌탈 관계자는 “계열사 거래가 늘어난 것은 회사 규모가 커짐에 따라 롯데캐피탈 및 롯데손해보험 등과 거래하는 비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6-06-15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